문화

[대중문화와 문화실천], 김창남, 한울아카데미, 1995, (220710)

바람과 술 2022. 7. 10. 19:25

서문 : 새롭게 읽는 대중문화

 

미리 규정된 적대의 틀을 전제하는 것은 잘못인 만큼 적대와 대립의 해체를 주장하는 것도 옳지 않다. 대립은 여전히 존재한다. 다만 그것은 대중문화의 바깥에 미리 금그어진 채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대중문화 내부에 숨겨진 채로 혹은 흩어진 채로 존재한다. 

 

제1부 이론적 논의

 

문화연구와 문화운동에 관련한 최근의 몇 가지 생각

 

대중문화에 대한 진보진영의 인식은 그러니까 대중문화에 대한 과학적 분석에 의한 체계화된 것이라기보다는 문화운동적 실천에 의해 상대적으로 얼개를 갖추어온 것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대중'(혹은 대중성)의 재발견은 최근 문화연구에서 보이는 중요한 하나의 경향을 포괄하다.

 

한국 소비문화·문화산업의 현실과 문화개방

 

1. 세계화의 도전

 

2. 한국의 소비문화 '세계화'의 현주소

 

3. 문화산업의 현황 : 영상산업과 음반산업의 경우

 

4. 문화시장의 개방과 민족문화의 새로운 모색

 

대중과 대중의 문화에 대한 새로운 시각

 

1. 대중문화에 대한 기존의 시각

 

대중문화가 사회의 다른 영역들과 어떠한 관계를 맺고 있으며 어떤 방식으로 가능하는가, 대중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하는 문제는 거듭 논의되어 온 사회과학의 중요 쟁점 가운데 하나라 할 수 있다. 

 

2. 대중에 대한 새로운 접근

 

기존의 대중문화론이 가지고 있는 지배 이데올로기론의 한계를 벗어나는 새로운 접근은 대중의 수용과정에 대한 주목, 요컨대 대중의 재발견으로부터 찾아질 수밖에 없다.

 

일련의 문화적 실천들의 역사적인 접합과 축적을 통해 하나의 문화적 구성체가 이루어지게 된다. 서로 다른 사회집단은 특정한 실천의 집합을 가지게 되는데 이것이 문화적 구성체를 이루는 것이다. 모든 구성체는 특정한 감수성을 형성한다. 감수성은 특정한 실천들과 구성체내의 개인이나 집단 사이의 관계를 정의해주는 개념이다. 그것은 특정 구성체의 취향의 의미를 규정하는 개념이며 특정한 실천과 집단의 일상생활구조 사이의 관계를 규정해주는 개념이다. 감수성은 다양한 구성체와 집단에 접합되어 투쟁의 영역을 구성한다. 감수성과 실천 사이를 매개하는 개념이 정서이다. 특정한 문화적 구성체는 말하자면 이종의 '정서적 동맹'이라 할 수 있다. 정서는 우리의 모든 감각과 경험, 일상생활의 모든 효과영역을 넘나들며 작용한다. 그것은 특정의 살아 있는 문화에 특유의 색깔과 톤, 질감을 부여하는 것이다. 정서는 일종의 투여로서 존재한다. 재웅은 정서적 투여를 통해 특정한 경험, 실천, 정체성, 의미, 즐거움 등을 갖게 된다.  

 

3. 하위문화 연구

 

새로운 수용자 개념의 핵심은 대체로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첫째, 대중은 주어진 문화산물의 메시지를 수동적으로 받아들이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조선 속에서 나름대로 능동적으로 이에 반응하며 이를 해독한다. 둘째, 그러한 실천은 일상적으로 이루어지며 문화산물의 의미는 그러한 실천의 과정에 의해 완성되는 것이다. 셋째, 수용자들의 문화적 실천은 수용자가 속한 계급이라는 요인에 의해 영향받지만 전적으로 그것에 의해 결정되는 것은 아니며 수용자들이 처한 다양한 담론적 위치와 사회적 맥락에 따라 차이를 보여준다. 

 

하위문화 연구는 주로 청소년, 특히 노동계급 출신의 청소년들의 문화에 대한 연구에 집중되었다. 이들 청소년들의 하위문화는 청소년들의 경험하는 사회적·경제적 모순에 대한 주술적 해결의 방식이다. 즉 현실적으로는 빈곤이나 실업을 해결할 수 없는 청소년들이 상징적 표상해위를 통해 현실의 모순으로부터 회피하거나 벗어나고자 하며 이것이 하위문화적 정체성을 구성하는 스타일의 추구로 나타난다는 것이다. 

 

4. 대중의 문화실천에 대한 접근방법 : 민속지학

 

5. 마무리 : 문화적 진보에 대한 새로운 접근

 

제2부 하위문화 연구

 

청소년집단의 문화실천과 하위문화적 특성

 

1. 머리말

 

2. 청소년의 삶의 조건과 청소년문화의 일반적 특성

 

3. 청소년집단의 대중음악 실천과 하위문화적 특성

 

4. 결론 : 청소년의 대중음악 실천과 청소년 하위문화

 

사무직노동자집단의 문화실천과 하위문화적 특성

 

1. 머리말

 

2. 사무직노동자집단의 계층적 성격과 의식

 

3. 사무직노동자집단의 대중음악 실천과 하위문화적 특성

 

4. 결론

 

생산직노동자집단의 문화실천과 하위문화적 특성

 

1. 머리말

 

2. 생산직노동자집단의 생활조건과 문화적 상황

 

3. 생산직노동자집단의 대중음악 실천과 하위문화적 특성

 

4. 결론

 

중산층 주부집단의 문화실천과 하위문화적 특성

 

1. 중산층 주부집단의 성격과 문화

 

2. 노래교실 주부집단의 대중음악 실천

 

3. 결론 : 중산층 주부집단의 대중음악 실천과 하위문화적 특성

 

결론 : 대중의 문화실천과 대중문화의 저항성

 

1. 하위집단과 하위문화적 특성의 문제

 

2. 문화실천의 저항성에 관한 문제

 

3. 연구의 한계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