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 54

[바다해부도감], 줄리아 로스먼, 이경아, 더숲, 2021, (220217)

머리말 chapter 1 바닷물 바다, 지구만의 고유한 모습 지구 표면의 71%가 물로 덮여 있음에도 과학자들은 물의 기원에 대해서 확실히 밝혀낸 바가 없다. 물은 수십억 년 전 소행성이나 혜성을 통해 지구로 왔을 가능성이 있다. 그런 소행성이나 혜성에는 간혹 얼음이 섞여 있었을지도 모른다. 바다의 형성에 이바지했을 가능성이 큰 맨틀 내부의 암석에도 물은 존재한다. 세계의 바다 태평양 : 지구 표면의 1/3을 차지한다. 지각판이 이동함에 따라 서서히 줄어들고 있다. 평균 깊이가 약 3,970미터에 이른다. 지구에서 가장 깊은 심해는 챌린저해연으로 1만 1,034미터이다. 대서양 : 지구 표면의 20%를 차지한다. 지각판이 대서양 중앙해령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뻗어 나감에 따라 서서히 넓어지고 있다. 평균 깊..

환경 2022.02.17

[자연의 권리], 데이비드 보이드, 이지원, 교유서가, 2020, (211111)

들어가며 서론 : 해로운 생각 셋, 잠재적 해결책 하나 유엔 식량농업기구에 따르면, 인간은 매년 1000억 마리 이상의 돌물-물고기, 닭, 오리, 돼지, 토끼, 칠면조, 오리, 양, 염소, 소, 개, 고래, 늑대, 코끼리, 사자, 돌고래 등-을 죽인다. 이렇게 다른 동물, 종, 자연을 지속적으로 사용하고 남용하는 형태의 근간에는 서로 연결된 세 가지 고질적인 관념이 자리한다. 첫째는 인간중심주의, 즉 인간은 자연 세계의 나머지와 별개이며 그보다 어 우월하다는 만연한 믿음이다. 이러한 우월 콤플렉스로 인해 우리는 인간이 진화의 정점에 위치한다고 본다. 둘째는 생물과 무생물을 포함한 자연의 모든 것이 우리의 재산이며 우리는 그것들을 마음대로 사용할 권리가 있다는 생각이다. 셋째는 무제한의 경제성장을 현대사회..

환경 2021.11.04

[이기적인 방역 : 살처분, 백신 딜레마], 김영수/윤종웅, 무블출판사, 2021, (211029)

추천사 들어가며 1. 구제역의 진실과 교훈_김영수 와치트리, 세계 최대 매립지를 가다 코로나19에 감염된 사람은 즉시 격리된다. 여기서 '격리'는 가축 살처분의 목적과 일맥상통한다. '살처분'은 가축의 이동과 접촉을 제한하고 바이러스의 흐름을 차단할 목적으로 실시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살처분의 가장 큰 특징은 전염병이 발생한 지역의 가축뿐 아니라 그 주변 지역의 모든 가축을 죽인다는 것이다. 16세기 우역, 살처분 정책의 시작 구제역, 백신 논쟁의 발화점이 되다 '살처분'은 축산 선진국에게 청정국의 지위를 안겨주는 역할을 한다. 현재 세계동물보건기구는 각 나라를 구제역 발병 상황에 따라 백신 여부와 상관없이 구제역이 발생하는 곳, 백신 접종하에 구제역이 발생하지 않는 곳, 백신 접종 없이 구제역이 발생하..

환경 2021.10.29

[원전 우리에게 무엇인가], 국민일보, 2015, (210923)

책을 내면서 01 원전 딜레마 필요한 원전, 불안한 원전 - 여론조사 분석 노후 원전 어떻게 할 것인가 울진 성공과 삼척 실패의 차이 부안에서 경주까지 긴 여정 갑상샘암, 원전과 관련있나 없나 인터뷰 원전에 대한 오해와 진실 국내 에너지 수급 사정 전문가 좌담회 02 신뢰가 답이다 월성 1호기와 포인트 레프로 생활의 일부인 프랑스 원전 프랑스는 전체 에너지 발전량 중 원자력이 75%를 차지하는 원전 강국이다. 프랑스 정부는 원전 안전을 위해 두 가지 원칙을 세웠다. '심층 방어'와 '안정적인 예비 시스템'이 그것이다. 신규 원전이 세워지면 최소 40년 동안 가동되는데 원전은 이 기간 동안 3단계에 걸쳐 관리된다. 일단 원전 운용사는 원전에 사용되는 모든 부품의 성능이나 고장 여부 등을 매일 모니터링한다...

환경 2021.09.23

[야외생물학자의 우리 땅 생명 이야기], 장이권, 뜨인돌, 2015, (210720)

프롤로그 | 우리는 타고난 동물행동학자 동물행동학 연구의 기원은 크게 두 갈래다. 하나는 자연에서 동물의 행동을 연구하는 행동학이고, 다른 하나는 실험실에서의 학습 연구에 집중한 비교심리학이다. 그중 비교심리학은 사람의 심리를 이해하기 위해 동물과의 비교, 연구에 집중하였다. 즉, 동물행동에 대한 연구는 처음 출발부터 인간에 대한 이해를 목적으로 했다. [제1장] 겨울의 생명들 까치 까치 설날은 어저께고요 둥지를 은밀한 곳에 지어 포식자를 피하는 여느 새들과 달리 까치는 '높이'를 이용해서 친적들을 방어한다. 둥지의 무게는 4.6~12kg으로 조류의 둥지치고는 매우 무거운 편에 속한다. 동물들이 화려한 색과 뚜렷한 무늬를 자랑하는 경우는 대개 '경고색'에 해당된다. 경고색은 독이나 독침, 지독한 냄새를 ..

환경 2021.07.20

[인류세 : 인간의 시대], 최평순/다큐프라임 <인류세> 제작팀, 해나무, 2020, (210715)

들어가는 말 : 새로운 시대 1장 인류세란 무엇인가 달걀 껍데기 우리는 21%의 산소와 78%의 질소로 구성된 대기 안에서 살아간다. "인류세가 되고 대기의 이산화탄소 농도는 엄청난 양으로 증가했어요. 산업혁명 이전에는 280ppm이었는데 지금은 400ppm이죠." '고생대', '백악기', '쥐라기', '플라이스토세'와 같은 지질시대 명칭이다. 인류세는 누대-대-기-세-절로 분류되는 지질시대 중 세에 해당된다. 그리스어로 인류를 뜻하는 'anthropos'와 세를 나타내는 접미사 'cene'을 결합했다. 지질학은 시간을 다루는 학문이다. 한 세에서 다음 세로 이동하는데 수백에서 수천만 년이 걸리는데, 기나 대에 비해서는 짧은 편이다. 공식적으로 현재의 지질시대는 '신생대 제4기 홀로세'다. 홀로세는 약 ..

환경 2021.07.15

[위기의 지구, 물러설 곳 없는 인간], 남성현, 21세기북스, 2020, (210531)

이 책을 읽기 전에 - 학문의 분류 지구과학이란(Earth Science)? 지구과학은 지구를 중심으로 그 주변의 자연을 대상으로 연구하는 학문이다. 지표면의 물질을 연구하는 지질학, 대기 현상을 연구하는 기상학, 바다 현상을 연구하는 해양학, 지구 내부의 현상을 연구하는 지구물리학 등을 포함하고 있다. 물리학, 화학, 생물학 등과 연계한 학제간 연구를 활발하게 진행하면서 지구온난화, 기상이변 등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에 일어나고 있는 환경 문제에 주목하고 있다. 주요 키워드 재해/재난 : 자연 현상이 인명이나 재산에 피해를 입히면 재해가 되며, 재난은 재해가 어떤 지역에서 한정된 시간에 걸쳐 발생해 사회에 영향을 끼친 것을 의미한다. 재난이 심해지면 재앙이 된다. 들어가는 글 : 푸른 지구에서 살 수 ..

환경 2021.05.31

[생태사회를 위한 통합적인 접근], 건국대학교 생태기반사회연구소, 소명출판, 2020, (210518)

추천의 글 책머리에 제1부 _ 인문과학 생태사회를 위한 독일작가들의 활동과 생태문학_사지원 생태담론의 철학_양해림 생태란 용어는 아주 오랫동안 고대부터 있었던 이른바 '전일적이고 유기적인 세계관으로 표현될 수 있는 사유의 전통'에서 나왔다. 특히 20세기 이후 생태담론이 새로운 자연관이나 새로운 철학의 등장으로 평가한다면, 논의의 역점을 기존의 관점과는 달리 해석해야 하는 복잡한 과제를 안고 있다. 따라서 최근 활발히 논의되고 있는 '생태담론은 고대부터 있었던 생태학적 사유가 근대 자연과학의 업적과 그 발견물들에 근거하여 이른다 객관성을 획득하는 과정을 배경으로 하여 새롭게 등장하게 되었다. 오랜 역사적 배경을 갖고 있는 생태학을 뜻하는 에코는 희랍어 오리코스에서 나왔다. 오이코스는 '다스린다'라는 의미..

환경 2021.05.18

[그건 쓰레기가 아니라고요], 홍수열, 슬로비, 2020, (210423)

들어가며 : 쓰레기는 사라지지 않았다, 다만 감춰져 있을 뿐 Part. 1 쓰레기를 알자 - 분리수거함 가기 전 알아야 할 것들 왜 그렇게 버려야 할까? #쓰레기 #분리수거 #분리배출 #제로웨이스트 #자원순환 #3R #5R #재사용 #재활용 #새활용 #소비자실천 #업사이클링 #프리사이클링 #소비자행동 #플라스틱어택 제로 웨이스트란 말은 쓰레기를 아예 만들지 말자는 뜻이 아니라 쓰레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이상적인 목표를 제시한 겁니다. 이 구조를 순환경제(혹은 자원순환사회)라고 하는데요. 순환경제는 자원을 버리지 않고 계속 사용하기 때문에 신규 자원의 투입과 쓰레기 배출이 거의 없는 경제를 말합니다. 순환경제로 가기 위해서는 계속 반복해서 재사용·재활용하는 구조를 만들어야 하는데요, 그러려면 재활용 기술..

환경 2021.04.23

[일급 경고], 최병성, 이상북스 , 2020, (210120).

저자 서문 1장 쓰레기 대란의 현실 여기도 쓰레기 산, 저기도 쓰레기 산 돈이 된다면 불법도 마다하지 않는다 제2의 쓰레기 대란이 기다린다 해답은 자연에 있다 사람들이 살아가는 세상에만 쓰레기가 쌓이는 건 아니다. 나무들이 울창한 숲에도 쓰레기가 가득가득 쌓인가. 다만 숲에는 부지런히 쓰레기를 치우는 청소부들이 있어 쓰레기가 우리 눈에 보이지 않을 뿐이다. 숲은 낙엽뿐 아니라 꽃과 나뭇가지와 동물의 사체 등 다양한 쓰레기를 만들어낸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그 모든 쓰레기가 다시 자연으로 돌아간다는 사실이다. 어떤 쓰레기도 축적되어 자연에 부담을 주는 경우가 없다. 신재생에너지가 아니라 쓰레기 소각이었다 쓰레기 대란을 넘어설 수 있는 대안으로 쓰레기 제로를 목적으로 한 비 존슨의 '5R 운동'을 제안했다...

환경 2021.0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