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기 시작

[공공역사란 무엇인가], 마르틴 뤼케/이름가르트 췬도르프, 정용숙, 푸른역사, 2020, (210630)

바람과 술 2021. 6. 30. 15:08

들어가며

국제적으로 널리 쓰이는 용어인 '공공역사'는 독일에서는 '응용역사'라고 불리는데, 이 용어는 이 책의 핵심 내용인 두 가지 뜻을 함께 담고 있다. 공중 속의 역사와, 공중을 위한 역사가 그것이다. 공공역사는 논쟁의 여지가 있는 개념이지만 역사 연구가 시작된 이래 존재해 온 오래된 것이다. 그러나 독일의 역사학계는 오래도록 역사 연구를 통해 지식을 얻는 일에만 관심을 두었을 뿐 공중에 역사를 매개하고 공중이 역사를 수용하는 문제는 도외시했다. 이런 것은 역사교육의 몫으로 남겨졌지만, 역사교육의 관심사는 학교 수업을 통한 역사 매개에 머물렀다. 학교 밖에서 유통되는 역사에 역사학계가 별 관심이 없었던 이유는 박물관이나 TV 다큐멘터리 등이 매개하는 역사가 '학문적' 역사만큼 중요하지 않다고 여겼기 때문이다. 

 

1장 공공역사란 무엇인가

 

1. 공공역사의 역사와 제도화

 

1-미국과 세계의 공공역사

 

2-독일의 공공역사

 

2. 공공역사의 개념과 실제

 

켈리의 공공역사 정의는 '대중적 역사 매개'를 뜻하기보다는 역사 연구자가 전문적인 연구, 분석, 해석 능력을 "학계 밖"에서 사용하는 것을 가리키는 데 그친다. 그리하여 1990년대에 역사학자 찰스 콜이 다음과 같이 정의 내렸다. "공중을 위한, 공중에 관한, 공중에 의한 역사."이는 공중이 공공역사가 지향하는 목표집단일 뿐만 아니라 공공역사 표현의 주제이며 생산자이기도 하다는 선언이다. 즉, 역사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이 역사를 다루는 행위가 전부 공공역사에 속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비전문적 역사서술의 모든 형태를 포함하는 것은 전반적인 동의를 얻지 못했다. 미국공공역사협회(NCPH)가 2007년 내놓은 정의는 다음과 같다. "공공역사는 역사 연구와 실천을 장려하는 운동이자 방법론이며 접근법이다. 공공역사가들의 사명은 그들의 특별한 총찰력을 공중이 접근하기 쉽고 유용하게 만드는 것이다." 그러나 이 개념 정의도 비판을 받았다. 당시에 공공역사는 운동이 아니라 이미 제도권에 안착한 상태였는데도 고유한 방법론이 없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적어도 공공역사가 역사가들의 학계 밖 활동 이상을 의미한다는 합의는 있었다. 이에 따라 개정된 미국공공역사협회의 개념 정의는 다음과 같다. "공공역사는 전 세계에서 역사를 작업하는 수많은 다양한 방법이다. 즉, 현실 세계의 문제에 적용되는 역사다. 실제로, 응용역사는 오랫동안 공공역사의 동의어 혹은 대체 가능한 용어였다. 최근 들어 공공역사가 학술용어로 학계에서 채택되었지만, 응용역사는 좀 더 직관적이고 자명한 용어로 남을 것이다." 이 개념 정의도 역시 모호할 뿐만 아니라 응용역사와의 개념적 유사성을 언급한 것이 꼭 도움이 되는 것 같지도 않다. 그러나 응용역사와 공공역사 간에 별 차이가 없다는 주장은 독일에서만 나오는 것이 아니다. 양자의 두드러진 차이라고 해 봐야 응용역사는 역사에 관심이 있는 모든 이를 포용하려 하고, 공공역사는 대학에서 훈련된 역사가에 더 의존한다는 정도다. 

 

베르너 파울스티히는 오락을 이렇게 정의한다. "특정한 문화적·사회적 맥락에서 자유로이 처분할 수 있는 시간을 즐거움으로 채우기 위해, 역사적으로 다양한 형태의 체험 기회를, 힘들이지 않고 이용함." 오락의 핵심 특징은 '힘들이지 않고'와 '즐거움으로'다. 카스파 마아제 역시 오락을 단조로움과 수고로움의 반대 개념으로 본다. "주의, 집중, 더불어 지적 노력"은 오락의 구성 요소에서 배제되지는 않지만 필수 요소도 아니다. 이에 더해 마아제는 여기에 '전문지식'을 필수라고 보는데, 즐기기 위해서는 이해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3. 공중 속의 역사 : 공공역사의 선도 개념인 역사문화와 기억문화

2장 역사교육과 공공역사
1. 공중의 역사 전유
2. 역사교육의 원리: 내러티브, 역사적 상상, 다원적 관점
1-내러티브
2-역사적 상상
3-다원적 관점
4-공공역사 생산을 위한 역사교육의 표준
3. 사회적 차원 I: 다양성
1-다양성, 사회, 역사
2-인종, 계급, 젠더: 다양성과 교차성 연구의 사회적 범주
4. 사회적 차원 II: 포용
1-사례 1: 20세기 초 아르메니아인 제노사이드
2-사례 2: 동성애의 역사

3장 공공역사 방법론
1. 물질문화
2. 이미지 역사
3. 소리 역사
4. 역사 매개에서 구술사와 시대 증인
1-구술사 인터뷰
2-‘시대 증인’이라는 존재
5. 리빙 히스토리

4장 공공역사와 미디어
1. 미디어가 ‘진실한’ 역사를 만든다: 공공역사의 미디어 구성력인 진본성과 미디어 전유
2. 텍스트와 이미지 관련 출판 미디어
1-역사소설
2-역사 전문서
3-역사 전문잡지
4-만화
3. 시청각 미디어: 영화와 텔레비전 속의 역사
4. 디지털 미디어

5장 박물관과 기념관
1. 박물관과 기념관의 개념과 역사
1-박물관의 기원과 발전
2-1945년 이후 독일에서 기념관의 발전
2. 박물관 연구의 방법
1-박물관학
2-박물관 분석과 전시 분석
3. 전시 제작과 교육

6장 공공역사 교육
1. 대학 교육: 이론과 실제의 결합
2. 석사 논문: 분석 및 수행 과제
1-역사 제시의 분석
2-수행 과제와 프로젝트 관리
3. 경력 개발
1-대학 교육
2-인턴십
3-박사학위
4-수습사원
4. 학문과 이벤트 사이에서: 공공역사의 연구지침과 윤리지침
5. 직업 분야
1-미디어
2-박물관과 기념관
3-정치
4-경제

옮긴이 해제
도판과 표
약어
주석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