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

[커뮤니티 디자인을 하다], 커뮤니티 디자인센터, 나무도시, 2009, (120430).

바람과 술 2012. 4. 30. 16:07

Part1. 커뮤니티 디자인은 무엇인가?

 

1장. 함께 사는 세상을 꿈꾸는 커뮤니티 디자인 : 커뮤니티 디자인의 의미와 가치 _ 이영범 

공동체를 디자인한다는 것은 좁게는 공동체 공간을 디자인함을 뜻하지만, 넓게는 주민들의 공존과 삶의 관계망을 디자인함을 의미한다. 


살고 싶고 살기 좋은 우리 동네를 만드는 커뮤니티 디자인을 지탱하는 큰 원칙은 '주민참여', '공유와 공존의 삶', '소통과 협력', '공공의 가치'이다. 커뮤니티 디자인은 '주민참여'를 전제로 주민들의 공유와 공존의 삶을 디자인한다. 공유와 공존의 가치를 만들기 위해서 '관심 갖기'와 '관계 만들기'가 우선되어야 한다. 다르지만 서로 함께 할 수 있는 가능성을 찾는 일, 그것이 참여와 소통, 협력이 필요한 이유이다. 커뮤니티 디자인은 '공공의 가치'를 디자인한다. 단순히 동네의 하드웨어적인 장소만을 다루진 않는다. 커뮤니티 디자인은 관계를 디자인하는 일이다. 참여의 단계에서는 참여, 관계, 갈등 해소의 디자인이 요구된다. 커뮤니티 디자인을 시작할 때 가장 어려운 일은 어떻게 주민들의 참여를 이끌어 낼 것인가이다. 어떻게 참여를 통해 공동의 가치를 이끌어 낼 것인가. 커뮤니티 디자인은 여기서부터 출발한다. 참여는 시작단계에서만 필요한 것이 아니다. 처음 시작단계에서의 참여는 중간과정에서의 참여와 그 성격이나 방법이 달라질 수 있고, 사업이 마무리된 이후의 참여는 훨씬 더 폭이 넓고 다른 차원에서 벌어질 수 있다. 주민참여과정에서 발생한 갈등을 해소한다는 것은 사실 가장 어려운 숙제이다. 갈등은 주민 스스로 해결하는 것이 가장 좋다. 그러러면 많은 대화와 시간이 필요하다. 반드시 갈등을 해소하고 다음 단계로 넘어가야만 진정한 주민참여라고 생각하는 고정관념을 버릴 필요가 있다. 갈등을 해소하기 위해 다음 단계를 진행하는 것도 한 방법이다. 갈등은 공동의 목표가 자신의 이해관계와 맞이 않기 때문에 생기는 경우가 허다하다. 이럴때는 다음 단계의 구체적인 내용과 결과물이 자신의 이해관계와 결코 상반되지 않는다는 것을 주민 스스로가 느낄 수 있게 해주면 갈등은 다소 완화된다. 갈등을 한꺼번에 해소하려고 하기보다는 조금씩 줄여나가려고 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참여의 단계에서 갈등해소의 계기가 마련되면 소통과 협력의 단계로 자연스럽게 발전하게 된다. 주민조직을 일궈내고 주민들 사이의 리더를 키워 내는 일은 커뮤니티 디자인이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밑거름이다. 


커뮤니티 디자인의 원칙. 원칙 1 : 커뮤니티 디자인은 쉽게 접근 가능해야 한다(public access). 원칙 2 : 커뮤니티 디자인은 쉽게 사용 가능해야 한다(public use). 원칙 3 : 커뮤니티 디자인은 모두가 참여 가능해야 한다(public participation). 원칙 4 : 커뮤니티 디자인은 서로가 소통 가능해야 한다(public communication). 원칙 5 : 커뮤니티 디자인은 공공의 장소를 기반으로 한다(public place). 원칙 6 : 커뮤니티 디자인은 공공의 지원이 가능해야 한다(public support). 원칙 7 : 커뮤니티 디자인은 쉽게 이해되는 디자인이어야 한다(public design). 원칙 8 : 커뮤니티 디자인인 쉽게 가꾸어 나갈 수 있어야 한다(public maintenance). ① 디자인 대상의 변화 : 커뮤니티 디자인 - 사회적 공간(장소+사람+생활의 복합체에 관심) ② 디자인 주체의 변화 : 커뮤니티 디자인 - 다양한 주체간 협력적 작업체계를 지향 ③ 디자인 역할의 변화 : 커뮤니티 디자인 - 목적을 얻는 과정으로서의 소통적 언어로서의 역할 ④ 디자인 성격의 변화 : 커뮤니티 디자인 - 디자인을 통한 문제해결의 실마리 제공 ⑤ 디자인의 사용자 역할의 변화 : 커뮤니티 디자인 - 단순한 사용자를 넘어 참여적 주체로서의 역할 ⑥ 디자인의 소통의 목적의 변화 : 커뮤니티 디자인 - 문제의식 드러내기와 지역주민간의 상호 이해 ⑦ 디자인의 공공성 성격의 변화 : 커뮤니티 디자인 - 주민, 지역과 상황에 맞는 차별화된 공공성을 중시 ⑧ 디자인의 중시 가치의 변화 : 커뮤니티 디자인 - 주민들의 의식변화와 구체적인 생활 속에서의 사용자와 장소와의 관계를 중시 ⑨ 디자인의 도시환경에 대한 입장 변화 : 커뮤니티 디자인 - 주변 도시환경과의 맥락을 바탕으로 한 장소의 관계망 형성을 중시 ⑩ 디자인 영역의 경계의 변화 : 커뮤니티 디자인 - 디자인과 비 디자인의 영역을 포괄하는 다양한 장르간의 창의성과 통합성을 추구. 


Tip1. 한평공원이란?

 
2장. 커뮤니티 디자인의 ‘디자인’ : 디자인과 참여의 만남 _ 김성주


디자인 1.0은 디자이너의 손에 모든 걸 맡기고 소비자의 선택을 기다리거나 강요한다. 디자인 2.0은 이제 소비자들을 분석하기 시작한다. 그들의 행동과 패턴을 보면서 디자인이란 경제, 사회, 문화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모여 함께 해결해 나가야 한다는 것을 알게 된다. 디자인 3.0은 여기에서 더 나아가 소비자들을 디자인 과정에 직접 참여하게 하나. 소비자가 생산 과정에도 참여하는 것이다. 상업성을 추구하는 디자인에게 소비자는 이제 더 이상 공급의 대상, 소비의 대상이 아니라 디자인을 주도하는 한 축으로 위상이 변하고 있다 


불특정 다수가 경험하게 되는 환경, 즉 공공공간을 디자인하는 디자이너의 능력에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으며 그 환경을 삶의 공간으로 생활의 공간으로 놀이의 공간으로 이용하는 사람들의 필요와 요구를 담기 위해서는 소통과 참여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또한 이런 참여의 과정을 통해 디자인은 출발점을 찾을 수 있이며 또 보완될 수도 있다. 주민들은 상상이 풍부하고 이것도 하고 싶고 저것도 하고 싶은, 원하는 것이 많은 "꿈꾸는 디자이너"이다. 


커뮤니티 디자인의 참여과정은 서로의 관계 맺기를 중요하게 다루어야 한다. 따라서 커뮤니티 디자인의 참여과정이 본질적으로 추구해야 하는 것은 서로의 관계 맺기, 즉 커뮤니티 만들기를 잘 디자인하는 것이다(여기서 관계 맺기란 주민과 전문가<디자이너>, 그리고 행정<공무원> 등 다양한 주체들의 관계 맺기이다. 이것을 네트워크라고 표현하기도 하며 사회가 가지는 무형의 자본<사회자본>이라고도 한다). 관계 맺기 시작한 하나의 프로젝트가 마무리된다고 하더라도 이후에도 지역에서 유지되고 확장가능 하여야 한다. 커뮤니티 디자인 과정을 통해 관계맺기의 환경을 만들어 주는 것, 그리고 그 이전에 스스로 그 환경을 만들어 가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커뮤니티 디자인은 그러한 기회를 제공하고 경험을 나누는 것이다  

 
Tip2. 한평공원 만들기의 과정 


3장. 커뮤니티 디자인의 ‘커뮤니티’ : 커뮤니티 디자인과 마을만들기의 관계 _ 최성용


Tip3. 한평공원 조성현황 


Part2. 커뮤니티 디자인 어떻게 할 것인가? 

4장. 커뮤니티 디자인은 소통이다: 커뮤니티 디자인 과정의 성격 _ 김연금 

하버마스라는 학자에 의하면 우리가 소통을 할 때 자연스럽게 상대방에게 지속적으로 네 가지에 대해 "당신의 말이 타당한가?"라고 따져 묻는다. 네 가지는 이해가능성, 진리성, 정당성, 진실성이다. 


질문을 잘 해야 한다. ○ 질문은 사람들에게 주장할 수 있는 기회를 준다. ○ 질문을 통해서 견해의 차이와 갈등들을 드러낼 수 있다. ○ 질문은 다른 질문들을 끌어낼 수 있는데, 다른 사람들이 어떤 견해를 갖고 있는가에 대한 것뿐만 아니라 왜 그들은 그런 식으로 보는지를 이해할 때 가능하다. ○ 질문을 받은 이들은 생각을 하고, 걱정을 하거나 화를 내거나 노력을 하거나 건설적 반응을 한다. 그러므로 질문은 이후 행동에 대한 가능성을 연다. ○ 또한 질문은 성찰의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Tip4. 사례 자세히 보기: 금호동 한평공원

 
5장. 마스터플랜이 아닌 틀(framework)로서의 과정: 커뮤니티 디자인의 과정 _ 홍승모 

하나, 커뮤니티 디자인은 프로젝트이 주도권을 주민에게서 빼앗아서는 안 된다. 둘, 커뮤니티의 전문가에 대한 기대와 의존도를 낮추고 참여하는 사람들의 관계를 디자인해야 한다. 셋, 서로의 관점에서 바라보기. 


좋은 공간이 나오기 위해서는 좋은 디자이너 이전에 좋은 발주자가 필요하다. 그래서 좋은 커뮤니티 공간이 만들어지기 위해서는 그 지역의 사람들 간에 좋은 커뮤니티가 형성되어야 한다. 그리고 커뮤니티 디자인을 하는 사람들을 물리적인 공간환경 디자인 이전에 좋은 커뮤니티 만들기를 위한 사회적 관계 디자인에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좋은 커뮤니티를 만들어가며 좋은 장소 만들기가 진행되기도 하지만, 오히려 장소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하면서 좋은 커뮤니티가 만들어지기도 한다. 그래서 '지역사회와 공간읽기'를 통한 주민과 함께 하는 대상 장소의 분석과 선정은 그 과정만으로도 지역의 커뮤니티 디자인을 촉진시킨다. 커뮤니티 디자인의 가장 큰 장점은 공간 만들기보다 공간 가꾸기에 있다. 


Tip5. 사례 자세히 보기 : 수색동 한평공원 

6장. 따로 또 같이 : 참여자의 역할 _ 김성주 

주민참여는 관심에서 출발한다. 관심은 두 가지로 해석해 볼 수 있다. 우선 주민의 이해관계에 따른 관심으로 참여하는 것이다. 이해관계는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필연적' 참여를 축진한다. 다음은 애정으로의 관심과 참여다. 이해관계에 다른 관심에서 출발한 참여는 어떻게 보면 당연한 참여이며, 주민의 이해관계만 반영된다면 더 이상의 참여가 일어나지 않을 수도 있는 소극적인 참여라 할 수 있다. 반면 애정에 기반한 관심과 참여에는 전문가나 행정이 완성하지 못하는 주민들로부터 시작되는 노력과 변화의 이야기가 담길 수 있고, 일회성 참여가 아닌 더욱 적극적인 참여가 기대된다. 그러나 이 두 가지의 관심은 서로 반대의 개념이라기보다 단계적 과정으로 바라 볼 수 있다. 


커뮤니티 디자인의 과정은 주민들의 관심을 불러일으키도록 기획되어야 하며, 참여의 기회는 모두에게 열여 있어야 하며, 참여의 과정은 일방적이 아니라 상호소통적이어야 하며, 참여의 결과는 즐거움과 자긍심 등으로 보상되어야 이후의 또 다른 참여가 반복될 수 있을 것이다. 참여는 소통의 과정이며 소통은 협력을 위한 과정이다. 협력을 통해 참여자들은 역할인식이 더욱 뚜렷해지고 서로 대등한 파트너가 되면서 새로운 참여로 다시 순환될 수 있다 


Tip6. 사례 자세히 보기3 : 인사동 한평공원

 
7장. 대화의 도구: 참여 프로그램 _ 권한, 정문수


햄디와 고덜트는 참여프로그램을 선정하기 위해 고려해야 할 사항을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 이해하기 쉽고 사용하기 편리한가? ○ 상황에 따라 융통성 있게 적용이 가능한가? ○ 프로그램은 경쟁보다는 협동과정을 강조하고 있는가? ○ 프로그램은 외부의 도움 없이 활용할 수 있는가? ○ 모든 관심 있는 사람들과 관련자들을 포함시킬 수 있는가? ○ 단기간에 집중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방법이면서, 장기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가? ○ 즉각적으로 눈에 보이는 결과물을 만들어 내는가? ○ 전문가에 대한 의존도는 어느 정도인가? ○ 프로세스에 교육과정이 포함돼 있는가? ○ 현장 경험이 있는 방법론인가? CDO의 현장 경험을 통해서 볼 때 몇 가지를 더 첨부할 수 있을 것이다. ○ 주민들의 특성에 적합한가? 일례로 노인과 어린이들에게는 다른 프로그램이 적용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 흥미로운가? 흥미롭지 않다면 참여에 대한 열의는 반감될 것이며 그만큼 효과도 높지 않을 것이다. 


커뮤니티 디자인의 시작은 주민의 관심을 끄는 것이다. 주민들에게 디자인에 대한 정보를 정확하게 전달하지 못하거나, 역으로 주민들이 전달내용과 방식에 관심을 보이지 않는다면 반쪽짜리 커뮤니티 디자인이 될 공산이 크다. 따라서 주민들에게 지역문제에 관심과 흥미를 유발하여 참여자이자 당사자로 커뮤니티 디자인의 자리에 앉히는 것 자체가 사업의 성공과 실패를 결정할 만큼 절박한 문제이다.

 

Tip7. 사례 자세히 보기4 : 순천시 지하상가 

8장. 동상이몽에서 동상동몽으로 : 실전, 대상지 읽기부터 관리까지 _ 유다희, 김연금 

Tip8. 사례 자세히 보기5 : 창동 한평공원

 
9장. 정답은 없다. 각자만의 정답을 만들자 : 전략에 대한 종합 _ 김연금 

Tip9. 사례 자세히 보기6 : 춘천시 호반어린이공원 

Part3. 종합과 전망 

10장. 아홉 가지 키워드로 커뮤니티 디자인 전망하기


안스타인의 참여의 사다리

 8  Citizen Control  Citizen Power 
 7   Delegated Power   
 6  Partnership  
 5  Placation   Tokenism 
 4   Consultation    
 3   Informing     
 2  Therapy   Nonparticipation 
 1  Manipul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