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

[저항의 방식], 오민석, 살림, 2019, (200917).

바람과 술 2020. 9. 17. 14:02

머리말 : 자기의 땅에서 유배당한 자들의 문학

미국 원주민의 식민화 과정과 캐나다 원주민의 식민화 과정은 상당히 다르다. 미국이 주로 물리적 폭력·대량 학살의 과정을 통해 원주민을 말살했다면, 캐나다는 주로 문서상의 계약·조약 협약의 체결을 통해 원주민의 영토를 야금야금 차지하고 이들을 이른바 '보호구역'으로 몰아냈다. 겉으로 보기에 캐나다의 원주민 정복과정이 상대적으로 훨씬 덜 폭력적이었던 것처럼 보이지만 내막은 그렇지 않다. 캐나다의 원주민 정복과정에서 가장 악랄했던 방법은 이른바 '기숙학교' 시스템이었다. 1847년에서 시작해 최근 1996년까지 거의 150년에 걸쳐 시행된 기숙학교 제도는 한마디로 말해 유럽인이 캐나다 원주민을 '동화'하기 위해 만든 것이었다. 이들의 '동화' 작업은 크게 두 가지 명분에 의해 가동되었는데, 그것은 원주민을 기독교인으로 개종하는 것과, 이른바 '야만인'에게 문명을 전달한다는 것이었다. 

 

제1장 내적 식민지와 성의 정치학

 

비어트리스 컬리턴의 『에이프릴 레인트리를 찾아서』

 

왜 원주민 문학을 읽는가?

 

내적 식민지의 풍경들

 

신식민주의론에서 착취와 억압의 원천이 단위 국가의 외부에 존재한다면, 내적 식민지에서 착취의 원천은 내부가 아니라 단위 국가의 내부에 있다. 또한 내적 식민지 개념은 인종주의와 유사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이와 구별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인종주의가 한 인종에 의한 다른 인종에 대한 차별·억압·편견을 이야기하는 것이라면, 내적 식민지는 그 외양은 유사하나 그와 같은 억압 과정에서 식민지 정복의 역사가 있고, 그것이 영속화된 현상이라는 점에서 일반적인 의미의 인종주의와도 구별된다. 

 

피부와 가면 그리고 판타지들

 

성의 정치학

 

희생제의, 판타지를 버리며

제2장 문화적 파시즘과 소수문학

 

메릴린 듀몬트의 『진짜 착한 갈색 소녀』

 

메티스로서의 혼종성에서 비롯된 시학

 

소수 문학에서 비정치적이고 비집단적인 이야기는 없다. 그것이 유년의 기억이건, 성년으로서의 삶의 어떤 단계에서의 이야기이건 소수 문학의 주체들에게 모든 사건은 정치적이다. 여기서 정치적이라는 것은 개체의 삶이 자신의 의지와 무관한, 개인의 의지를 넘어서 이미 결정된 사회적 힘, 즉 시스템에 의해 무리하게 강제되는 상황을 뜻한다. 이런 점에서 백인 주류 북미 사회에서 원주민의 삶은 '요람에서 무덤까지' 정치적이다.  

 

문화적 파시즘과 성, 계급, 인종

 

파농에 따르면 탈식민화란 크게 세 층위로 정의된다. 첫째, 탈식민화란 "역사적인" 과정이다. 식민화 과정 자체가 역사적인 것처럼 탈식민화 역시 역사적인 과정이라는 것이다. 둘째, 탈식민화는 근본적으로 폭력적인 현상이어서 식민자에 맞서는 피식민자의 폭력에 의해서만 성취될 수 있다. 셋째, 탈식민화는 본질적으로 화해 불가능한 두 세력 사이의 만남이기 때문에 결국 어떤 인간 종(식민자)을 다른 인간 종(피식민자)으로 대체하는 것 말고는 방법이 없다.  

 

“악마의 언어”와 혼종성

 

액체성 혹은 그 너머

제3장 내적 식민지와 텍스트의 정치학

 

지넷 암스트롱의 『슬래시』

 

북미원주민 삶, 현재형으로 읽어내기

 

텍스트의 정치학 1 : 성장소설과 탈식민 로맨스

 

텍스트의 정치학 2 : 리얼리즘의 강화

 

모더니스트들이 재현한 개별 주체들은 한결같이 "자기 자신만의 경험이라는 한계에 엄격하 갇혀 있다"

 

『슬래시』의 리얼리즘적 성취

제4장 경계와 헤게모니

 

리 매러클의 『레이븐송』

 

경계에 대한 성찰문학

 

경계와 헤게모니

 

다시 대화를 향하여

 

좌절된 욕망, 현실의 우위

 

내적 식민지의 문제

북미원주민 문학은 일반적인 탈식민주의 패러다임으로 접근하기에 적절치 않는 특징들을 가지고 있다. 탈식민주의 이론이 주로 제3세계 하위주체들이 처해 있는 상황, 즉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사실상 종료된 직접적 식민 지배와 식민 후의 상황을 전제로 하고 있다면, 북미원주민은 아직도 직접적·영속적 식민지배 상태에 있다는 점에서 근본적으로 다른 조건 속에 있다. 

 

제5장 유배당한 자들의 서사전략, 그리고 전복의 수사학

 

토머스 킹의 『캐나다 인디언의 짧은 역사』

 

지배언어로 지배언어를 교란시키다

 

유배당한 자들과 소수문학

 

들뢰즈에 따르면 소수 문학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첫째, 소수 문학 안에서 언어는 높은 탈영토화 계수의 영향을 받는다. 둘째, 소수 문학 안에서 모든 것은 정치적이다. 셋째, 소수 문학 안에서 모든 것은 집단적 가치를 띤다. 

 

경계를 넘어서, 소수문학의 서사전략

 

다양한 서사전략으로 구축하는 캐나다 인디언의 역사

토머스 킹의 『한 좋은 이야기, 그 이야기』

 

내적 식민지 개념을 도입하다

 

텍스트의 정치학

 

판타지를 동원해 돌이키기 어려운 현실 뛰어넘기

주석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