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

[사진과 그림으로 보는 한국의 역사 2], 역사문제연구소, 웅진출판, 1993, (220205)

바람과 술 2022. 2. 5. 03:40

책을 내면서

 

시대 개관

 

1. 고려의 건국과 문벌 귀족 사회

 

① 견훤과 왕건

 

② 과거제로 인재를 등용하다

 

③ 관료에게 수조권을 나누어 주다

 

④ 나라는 바뀌었어도 농민의 생활은

 

⑤ 집에서는 부처님, 조정에선 공자님

 

⑥ 거란, 여진과의 투쟁

 

⑦ 네 개의 신분 계층과 고려 청자

 

⑧ 이자겸, 묘청의 난

 

2. 무신 정권과 여몽 전쟁

 

① 권력을 잡은 무신

 

② 장군과 재상의 씨가 따로 있는가

 

③ 고려와 몽골의 전쟁

 

④ 원의 사위 나라로 떨어진 고려

 

⑤ 산과 내를 경계로 하는 농장

 

⑥ 몽골을 몰아내다

 

⑦ 홍건적과 왜구를 물리치다

 

⑧ 등장하는 신진 사대부

 

⑨ 고려 후기의 사상과 문화

 

3. 조선의 건국과 양반 관료제 사회

 

① 강력한 왕권의 성립

 

② 양반 관료와 과전

 

③ 은수저를 입에 물고 태어난 양반과 지게를 짊어지고 태어난 농민

 

④ 우리 글, 우리 기술

 

⑤ 토지 소유의 확대와 농민의 동요

 

⑥ 향촌 사회의 새로운 주인이 된 사림

 

토지 소유에 바탕을 두는 지주 전호제가 전개되는 가운데, 지방에서는 중소 지주적인 기반을 가진 사람들이 전호의 저항을 무마하면서 사회 세력으로 떠오르게 되었다. 15세기 후반 이래로 양반 지주들의 토지 겸병으로 농민들이 궁핍해지고 수취 제도의 폐단이 심각해져 농촌을 떠나는 농민이 증가하였다. 이 같은 농천 사회의 동요로 위기 의식을 느낀 향촌의 사림들은, 농촌 사회를 실제로 지배하는 지주로서의 지위를 유지하기 위해 향촌 사회를 안정시키는 것이 무엇보다도 시급하였다. 그러나 사회의 과정에서 도덕성을 앞세우는 사림파의 정치 원리는 더욱 세련되어 갔고, 성리학의 철학적 기반을 유지하기 위해 향촌 사회에서 거점을 마련하는 데 힘쓰게 되었다. 

 

성종 대 후반에 사림들이 유향소 복립을 중심으로 향촌 사회에서 성리학적인 질서를 수립하기 위해 노력한 데 비하여, 중종 대 초반에는 사림들이 향약의 보급을 통해 농민을 통제하고 훈구와 결탁한 수령의 비리를 견제하려 하였다. 향약은 상업의 발달과 짝을 이루며 진행된 토지 집적과 방납 등으로 인하여 농촌 사회가 동요하는 것을 막고, 사림의 향촌 지주로서의 기반과 지위를 유지, 강화하기 위한 사족 중심의 향촌 조직이었다. 

 

16세기를 지나면서 향촌 사회는 사족 중심의 성리학적인 질서로 재편되어 갔다. 사림들은 개간과 매득을 통해 지주적인 기반을 확보하고, 그를 중앙의 훈구계와 연결된 수령의 침탈과 전호의 저항으로부터 지켜 내기 위해 자체 결속을 모색하였다. 그리하여 그들이 닦은 성리학 지식을 바탕으로 중앙 정계에 진출하여 언관으로서 훈구계의 비리와 불법을 비판하는 한편, 향촌에서는 유향소를 다시 설치하고 향약을 시행하기 위해 노력하였으며, 서원을 건립하여 사림 세력을 학문적으로 결속하고 재생산하려 하였다. 그 결과, 16세기 후반에 이르러 사림들이 정국의 주도권을 장악하게 되자 향촌에서도 자연스레 사림 주도의 성리학적 향촌 질서가 하나의 체제로서 자리를 굳혀 가게 되었다. 그리하여 사림들은 유향소와 향약, 서원 등을 이용하여 향촌에서 지방관을 견제하면서 전호 농민이 대부분인 농민에 대한 지배력을 행사할 수 있었다. 

 

⑦ 외적의 침입을 격퇴한 우리 민족

 

4. 해체되어 가는 중세 봉건 사회

 

① 비틀거리는 조선, 다시 서다

 

② 이앙법의 보급으로 변화하는 농촌

 

③ 만들고, 팔고, 돈 벌고

 

④ 돈으로 사고 파는 양반

 

⑤ 모든 세금은 쌀이나 돈으로

 

⑥ 서울에서 정권 다툼, 지방에서 향권 다툼

 

5. 새로운 사회를 모색하다

 

① 실학과 사회 개혁론

 

② 우리 문화에 대한 새로운 인식

 

③ 서민들,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다

 

④ 조선 후기의 신종교와 사상

 

⑤ 빼앗기는 농민, 저항하는 농민

 

⑥ 평안도 농민 전쟁, 1862년의 농민 항쟁

 

⑦ 살아 있는 대원군

 

부록

 

① 연표

 

② 찾아보기

 

③ 왕조 계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