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문화)

문화예술교육정책 평가와 대안모색 - 이동연/조중현/박형주, 2012.

바람과 술 2012. 6. 28. 12:51

문화예술교육정책의 현황과 혁신방안 : 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와 예술 강사 지원 환경 개선을 중심으로 - 이동연(한국예술종합학교 교수)


1.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새로운 패러다임


문화예술교육정책은 그 자체로 충분한 가치가 있고, 다른 문화정책에 비해 정치적 논리로부터 비교적 자유롭지만, 현재 추진되고 있는 사업들을 좀 더 큰 틀에서 사고하는 정책적인 비전이 필요한 시점이다. 문화예술교육정책의 지속가능한 논리를 발견하기 위해서는 이것이 다른 문화정책과 어떻게 상호작용할 수 있을 것인지에 대한 창의적이고 생산적인 상상이 필요한데, 그 대표적인 사례들이 문화예술교육정책을 통한 공교육의 혁신과 지역문화의 활성화와 관련되어 있다. 문화예술교육정책이 현재 심각한 문제를 안고 있는 학교교육의 새로운 대안, 혹은 대안을 위한 출발점이 될 수 있는지, 또한 그것이 지역문화의 부족한 문화예술콘텐츠 자원을 메우는 장소가 될 수 있는지에 대한 고민은 근본적인 문제이다. 


2. 문화예술교육 사업 현황


다양한 사업에도 불구하고 현재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예술교육과와 문화예술교육진흥원이 함께 추진하고 있는 문화예술교육사업들은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점에서 한계 및 보완 지점을 드러낸다. ① 예술강사 사업이 강사 수와 지원 대상 학교 수에서 상당히 규모 있는 사업인 것은 틀림없지만, 그 사업이 얼마나 질적으로 보장되고 잇는지가 분명하지 않다. ② 예술강사 사업이 현재 교육현장에서 어떤 정도의 지위를 갖고 있는지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와 더불어 교육과학기술부와 시도교육청과의 적극적인 업무 지원 협약들을 이끌어내야 한다. ③ 예술강사들의 양적인 참여에도 불구하고 이들이 안정되게 예술교육전문가로서 활동할 수 있는 지원환경이 부족한 상황이다. ④ 사회문화예술교육 사업들이 대체로 사회적 약자나 소수계층들의 문화복지 차원에서 진행되고 있는 것은 이해할 수 있지만, 모든 교육사업들이 너무 문화복지 논리로 집중되는 것은 문제가 있어 보인다. ⑤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과 관련하여 전체적으로 새로운 디지털 테큰놀로지를 활용한 통섭형 프로그램이 상대적으로 부족해 보인다. ⑥ 문화예술교육 정책에 있어 현재 가장 큰 문제점은 지역문화예술교육센터의 실질적인 위상과 기능에 대한 분명한 설계가 없다는 점이다. ⑦ 문화예술교육 정책과 관련 정보화 사업들이 정책을 홍보하고 알리는 일에 집중되었지만, 정작 더 중요한 문화예술교육의 자원들을 축적하고 공유할 수 있는 아카이빙 기능이 부족해 보인다. 


3. 문화예술교육 정책 대안을 위한 혁신방향


서울시교육청 문예체 사업 현황과 과제 - 조중현(시교육청 파견교사)


1. 2012년 서울시교육청 문예체사업 현황


2. 2011년 전문강사 지원사업 현황


3. 문화예술교육진흥원 사업 비교


4. 2012년도 문예체교육 현황


5. 문예체교육 지속/강화 과제


혁신학교와 문예체 교육의 연계방안 - 조중현(구일중, 문예체 파견교사)


1. 이것은 애초에 무엇이었을까


2. 삶의 일부였다


3. 문화교육은 삶으로 들어가는 일이다


4. 삶의 교육에 다가가는 수업방법


5. 예술교육


6. 문화예술교육과 혁신학교의 연계 방안


사회문화예술교육의 현황 및 대안 - 박형주(하자센터 교육팀)


문화예술교육정책 평가와 대안모색_20120518.pdf


문화예술교육정책 평가와 대안모색_20120518.pdf
0.34M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