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

[자기결정], 페터 비에리, 문항심, 은행나무, 2015, (200418).

바람과 술 2020. 4. 18. 04:35

첫 번째 강의 | 자기 결정의 삶은 어떤 모습일까? 7

우리 모두는 자신의 삶을 스스로 결정하기를 원합니다. 


우리는 자신의 생각과 감정과 소망대로 살고 싶어 합니다. 이것을 타인에 대한 배려 없이 오직 자신의 이익만을 추구하려는 소망과 혼동해서는 안 됩니다. 


독립성이라는 개념은 이제 소개할 두 번째 측면으로 해석할 때 이해하기 다소 힘들고 복잡한 모습을 띠게 된다. 이에 따르면 독립성은 타인에 관한 것이 아닌, 스스로에 대해 결정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하는 것이 된다. 


자기 자신과의 이러한 거리에는 두 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그 하나는 인식과 이해의 거리입니다. 내적 거리의 두 번째 종류를 보면 자신의 경험에 대한 평가가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더 분명하게 드러납니다. 


경각심은 두 가지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첫째는 정확한 의미를 따져보는 것이고 둘째는 그것이 그 의미를 가졌다는 것을 과연 무엇을 통해 알게 되었는가를 생각하는 것입니다. 


타인은 전적으로 자기 결정적 삶에 위협적 존재가 될 수 있습니다. 우리는 대부분의 시간을 타인의 시선을 받으며 살아가는데, 이 시선은 우리를 우리 자신에게서 끌어내 우리의 욕구에 의해 정의된 것이 아니라 다른 사람들의 기대에 맞춰진 생소한 삶 속으로 집어넣기도 합니다. 타인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어 생겨나거나거나 작용하는 정체성이란 존재하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타인의 시선과의 대결이 자기 결정적인 성질을 띠려면 자기가 누구인지 끊임없이 묻고 또 묻지 않으면 안 됩니다. 


자기 생을 스스로 이끌어나가고자 하는 욕구는 타인에게 조종당하지 않으려는 욕구와도 일치합니다. 조종당하는 것과 자기 결정을 해치지 않고 오히려 도움이 되는 영향을 받는 것 사이에는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두 번째 강의 | 자기 인식은 왜 중요한가? 41


자신을 인식하는 것은 자신에 관해 결정하는 것의 한 형태입니다. 


인식된 것과 인식되지 않은 것의 구별입니다. 첫째는 앞에서도 설명한 것처럼 과거에는 불분명하고 혼란스러운 형태로 존재했던 경험들에 대해 더욱 심도 있는 주의를 기울이는 것을 의미합니다. 


자신이 누군인지 표현하지 않는 사람은 자신이 누구인지 알 수 있는 기회를 놓친다는 뜻입니다. ''


첫 번째 해석에 따르면 자기기만을 발견하는 것은 실제 사싱을 드러내는 것에 있습니다. 두 번째 해석에 따르면 전체 이야기에 들어맞지 않는 조각을 치워내고 일관성 있는 새로운 조각으로 끼워 넣는 것이고요. 


세 번째 강의 | 문화적 정체성은 어떻게 탄생하는가? 71

언어를 배우는 것은 근거를 밝힌다는 개념을 배우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우리는 언어를 통해 자신이 하는 말의 근거를 댈 줄 아는 존재, 즉 이성적이며 생각하는 존재가 됩니다.


공동체의 문화적 정체성에 있어서 결정적인 것은 구성원이 사고와 이성, 지식과 진실을 어떻게 이해하느냐입니다. 


참고문헌 99

감사의 말 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