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문화)

포스트 코로나시대 비대면 문화예술교육 패러다임 전환과 지원 방안 - 2020.

바람과 술 2020. 9. 9. 05:21

□ 학교에서의 비대면 예술교육 운영 - 조재기 부산 교동초등학교 부장교사

 

○ 코로나 시대 학교 현장을 위한 제언

- 다양한 콘텐츠 개발 기대(저작권 두려움 해방)

- 비대면 예술교육의 한계 극복(감상 위주→실기 가능)

- 비대면 교수-학습-평가 플랫폼 필요(일반화 가능한)

 

□ 지역에서의 비대면 문화예술교육 사례 - 손동혁 인천문화재단 정책협력실장

 

○ 온라인 교육 운영에 따른 점검 사항

- 무용, 노래, 제작 등 워크숍 형식의 집합교육이 필요한 강의는 온라인 운영이 적합하지 않다고 판단하여 연기

- 강연 중심의 교육프로그램 외 개인 작업이 가능한 일부 예술 프로그램(시 쓰기, 바느질, 그리기)은 강사와 협의하여 온라인으로 전환(필요시 재료는 참여자에게 개별 배송)

- 개인작업 형식의 실습활동의 온라인 진행이 예상 외로 원활했음, 참여자가 익숙한 개인공간에서 편안하게 자기 이야기를 할 수 있었던 것으로 보임

- 비대면 상황이 강사에게 익숙하지 않은 상황이나, 강사에 따라 온라인에 잘 적응하기도 함

- 강연 중심의 교육이라도 일방적인 강연보다는 온라인 참여자와의 대화를 활발히 하도록 유도

- 기존 선정자 중 불참자 다수, 일정의 문제도 있겠지만, 온라인 수강의 불편함도 있을 것으로 판단함

- 2020년 상반기의 온라인 운영은 대면교육으로 계획한 것을 온라인으로 전환한 것이었으나, 향후에는 애초에 온라인 운영의 특성을 살릴 수 있는 과정 계획․구성이 필요함

 

○ 문화예술교육사 및 학교예술강사 지원 사례

 

구분

재택수업 방법

출결처리 방법

운영 교과목

온라인 동영상 강의

(PPT 동영상 강의 등)

• 강좌별 SNS(카카오툭 오픈채팅, 밴드)로 동영상 강의 링크 발송

• 배정된 강의시간에는 SNS를 통한 질의응답 등 상호작용

• 출석 인정(과제제출 기한 등)은 담당교수 재량으로 정하여 실시

• 강좌별 수강생 SNS(카카오톡 오픈채팅, 밴드)접속→교수 수강생 접속 현황 캡쳐

• 2개 교과목 : 미술디자인교육론, 문화예술교육현장의 이해와 실습

실시간 원격강의

(ZOOM 이용 등)

• 강좌별 SNS에서 실시간 원격강의 링크 발송

• 실시간 수강생 출결체크

• 9개 교과목 : 연극 3개, 영화 3개, 미술디자인 2개, 문화예술교육개론

 

○ 현장실습 운영 방안

 

 

○ 코로나19 이후 문화예술교육을 위한 제언

- 누구나, 언제나, 어디서나 접근 가능한 문화예술교육 환경 조성

 

<온라인 문화예술교육 학습 플랫폼 구축 필요>

• 문황예술교육 프로그램 및 학습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온라인 플랫폼 구축, 문화예술교육의 양적 확대와 문화예술교육 접근 기회 확대

• 문화예술교육 분야별로 활동하고 있는 예술인, 예술강사, 단체 등에 관한 체계적이고 구체적인 DB 시스템 구축

• 지역별(생활권) 학교 및 문화예술기관, 지역별 문화예술교육 커뮤니티를 포함한 자원지도 제작

• 공통교육 및 지역 문화자원을 활용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

• 평생교육과의 연계 및 협력방안 마련

• 온라인, 오프라인 학습의 유기적인 결합 방안 연구

 

<문화예술교육 활성화를 위한 공영방송의 역할 강화 필요>

•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공영방송의 역할을 강화하여 양질의 문화예술교육 영상 콘텐츠의 제작 안전성 확보, 학교 등 문화예술교육 현장에 프로그램 제공

• 분권에 따른 교육 영역에 대한 교육방안 마련 필요

• 한국교육방송(EBS)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확대 또는 별도 채널 확보

 

-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에 기반한 문화예술교육 계획 수립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에 기반한 문화예술교육 계획 수립>

• 2016년 UN 총회에서 문화와 지속간으발전 결의안 발표, 중앙정부의 관련 활동을 비롯하여 광역/기초 지속가능발전협의회 역사 관련 지표 선정 및 실천 활동 진행

• SDGs와 문화정책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 SDGs에 기반한 문화예술교육 정책과 방향 제시를 위한 연구 시급

• UN의 지속가능발전 목표에 대응하는 문화예술교육 정책 연구 추진 검토 필요

• 5년마다 수립되는 문화예술교육계획 등에 반영할 수 있는 방안 마련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