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NGO)

한국 비영리조직의 성과평가체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김민정/박성민, 2014

바람과 술 2021. 1. 15. 00:51

1. 서론

 

2. 선행연구 검토

 

비영리조직(NPO)의 개념

 

비영리조직을 넘어서 광의의 개념인 비영리부문이 가지는 특징에 대해 ① 조직, ② 민간부문, ③ 이익무분배, ④ 자치성, ⑤ 자발성, ⑥ 공익성과 같이 6가지로 정리하였다. 

 

UN의 국제비영리조직분류 방식에 따르면 비영리조직을 분야에 따라 총 12개 항목(문화, 레크레이션, 교육/연구, 건강, 사회서비스, 환경, 개발/주택, 법/지지/정치, 자선조직/자원봉사 활성화, 국제적 활동, 종교, 기업 및 직업단체/노동조합, 기타)으로 분류하였다. 

 

안전행정부는 2012년도 비영리민간단체 지원 시, 2008년에 분류한 사업유형을 부분적으로 통·폐합하여 ① 사회통합과 취약계층 복지증진, ② 자원봉사 및 기부 나눔 문화 확산, ③ 국가안보 및 사회통합, ④ 재해재난 극복 및 안전문화 정착, ⑤ 건강사회 및 성숙한 시민사회 조성, ⑥ 저탄소 녹색성장 및 자원(에너지) 절약, ⑦ 국제교류형으로 구분하였다. 

 

<비영리조직의 유형 구분>

비영리조직 유형 해당되는 비영리조직
서비스·복지지향 사회통합과 취약계층 등 복지증진, 자원봉사 및 기부 나눔 문화 확산, 국제교류협력·복지 및 서비스, 재해재난 극복 등
역량배양·발전 아동·청소년 교육, 역량강화, 건강사회 및 성숙한 시민사회 조성, 저탄소 녹색성장 및 자원(에너지) 절약, 국제교류협력·기술 이전 및 교육 등
권한강화·대변적 국가안보 및 사회통합, 환경운동, 모니터 단체, 정책평가단, 정치적 옹호조직 등

 

비영리조직의 성과평가

 

3. 연구 설계

 

연구 모형

 

<비영리조직의 성과평가에 대한 항목구성과 의미>

사업평가
(조직에서 운영하고 있는 
사업에 대한 평가)
계획 수립의 적절성 명확한 사업목적 및 추진근거로 토대로 실행 가능하게 계획하였는가
시행과정의 효율성 추진일정과 시행과정은 효율적이었는가
사업 성과목표의 달성도 사업 성과목표를 기준으로 평가하였을 때, 얼마만큼 달성하였는가
사업 평가결과 활용도 평가결과를 차기 계획에 얼마나 반영하였는가
회계평가
(조직에서 사용한 모든
재정·보조금,기부금 포함
에 대한 평가)
사업계획(지출)의 타당성 평가결과를 차기 계획에 얼마나 반영하였는가
재정집행의 효율성 적합한 곳, 필요한 사업에 재정을 지출하였는가
재정운영의 투명성 재정의 집행과정은 효율적인가
재정목표 달성도 재정의 운영과 결과는 투명하게 이루어지는가
인사·조직 평가
(조직의 구성원 및
조직 자체에 대한
평가)
관리계획의 적절성 인사·조직에 대한 관리계획을 적절하게 수립하였는가
인사운영의 공정성 인사운영은 공정하게 이루어지고 있는가
조직운영의 투명성 조직운영은 투명하게 이루어지고 있는가(예산, 운영, 평가에 대한 정보 공개 포함)
평가결과의 활용도 평가결과를 공개하고 활용하였는가, 평가결과를 인사·조직에 얼마나 반영하였는가
평가투입평가
(평가에 투입되는
요소들을 평가하는
것)
평가체계의 적절성 평가 체계(평가 제도나 운영 시스템)와 측정방법이 적절한가
평가지표의 타당성 평가하고자 하는 내용을 측정하는 지표들이 타당한가
평가시기의 적절성 평가하는 시기는 적절한가
평가체계의 신뢰성 누가 평가해도 비슷한 결과가 나올 수 있는 신뢰할만한 평가체계인가
평가실시과정평가
(평가를 실시하는
과정을 평가하는 것)
평가내용의 충실성 평가지표나 평가의견을 충실하가 제시했는가, 평가결과 분석 및 개선방안이 적절한가
평가과정의 객관성 지표의 목표달성도를 정확하게 공정하게 평가하는가
평가인력의 적정성 평가인력은 업무에 대한 전문성을 가지고 있는가
평가절차의 효율성 평가제도의 운영이 전반적으로 효율적인가, 평가에 드는 시간·노력·비용이 적절한가
평가효과평가
(평가효과를
평가하는 것)
평가결과의 수용성 구성원이 평가결과를 받아들일 수 있는가
평가결과의 활용도 평가결과를 얼마나 활용하였는가
향후 성과 향상도 평가가 기관의 성과향상 혹은 역량강화에 얼마나 도움을 주었는가

 

연구가설

 

자료수집 및 분석방법

 

4. 실증분석

 

표본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일관성 검정 결과

 

비영리조직의 성과평가에 관한 분석결과

 

비영리조직의 메타평가에 관한 분석결과

 

비영리조직의 성과평가체계에 관한 분석결과

 

5. 결론

 

첫 번째로, 비영리조직의 성과를 무엇으로 볼 것인지 고민할 필요와 비영리조직의 사업을 좀 더 중요하게 여기며 이를 하나의 성과로 인정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두 번째로, 행정의 범주에서 비영리조직에 대해 좀 더 명확하게 정의하고 이들에 대한 개별 특수성을 존중해 줄 필요가 있다. 세 번째로, 비영리조직에 대한 정보 및 평가결과들을 축적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비영리조직의 성과평가체계 보완을 위한 전문가 도입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