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인류학

[문화와 역사 연구를 위한 질적연구 방법론], 윤택림, 아르케, 2013, (131125).

바람과 술 2013. 11. 25. 02:10

개정판 서문


초판 서문


제1부 무엇이 질적연구방법인가?


제1장 왜 질적연구방법인가


1. 일상생활과 수치 그리고 그 무엇


2.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


3. 질적연구방법이란?


4. 질적연구방법은 대안적 연구방법인가?


양적, 질적연구 방법

 비교 기준   양적연구방법   질적연구방법 
 자료의 성격  숫자  말, 글
 연구 환경  인공적, 실험  자연적, 현지조사
 연구의 초점  행동  의미
 자연과학 모델과의 관계  자연과학이 모델  자연과학이 모델이 아님
 접근방법  연역적  귀납적
 연구 목적  과학적 법칙  문화적 양식
 인식론적 입장  사실론  관념론


5. 책의 구성


제2장 현지조사와 문화기술지


1. 현지조사의 특징


서베이와 현지조사 비교

 비교 기준   서베이  현지조사
 연구 대상  표본-모집단  사람들-지역사회
 연구 기술   질문지   참여관찰, 인터뷰 
 자료를 주는 이   응답자   제보자 
 연구자와 연구대상 관계   개인적 접촉 없다   직접적, 대면적 접촉 
 연구집단 규모   현대 복합 사회   소규모 사회 
 자료의 성격   양적   질적 
 연구 결과   통계처리   의미해석 



2. 현지조사의 여러 연구 기술들


3. 해석적 연구로서의 현지조사


4. 현지조사에 영향을 주는 세 가지 요소


첫째 요소는 연구의 주제다. 둘째 요소는 연구자의 정체성이다. 셋째 요소는 현지의 상황이다.


5. 현지조사를 준비하며


성공적인 현지조사를 위해서 가장 중요한 것은 분명한 주제를 선정하는 것이다. 


6. 문화의 경계 넘기


제2부 질적연구는 어떻게 하는가?


제3장 참여관찰


1. 현지에 들어가기 


2. 참여관찰의 목적


참여관찰의 목적. ① 상황에 따른 관찰과 참여의 균형 ② 분명한 목적 의식 ③ 광범위한 시각에서 초점 맞추기 ④ 내부인과 외부인의 입장 ⑤ 자기 성찰. 참여관찰은 처음에는 넓게 시작하여 좁게 초점을 맞추어 가는 것이 정도다. 참여관찰의 첫째 목적은 현지의 전체적인 맥락을 이해하는 것이다. 


3. 참여관찰의 효용성


참여관찰의 효율성. ① 총체적 시각으로 다양한 자료 획득 가능 ② 현지민의 반응성을 줄일 수 있다 ③ 현지민의 언어로 알맞은 질문 가능 ④ 통찰력 있는 이해 도출 가능 ⑤ 어떤 제도, 조직이 어떻게 작동되는가는 참여관찰로만 가능.


4. 참여관찰 선정 기준


참여관찰의 선정 기준. ① 접근이 용이한 것 ② 빈번하게 일어나는 것 ③ 연구자의 노출이 심하지 않은 것 ④ 연구가 허락되는 것.


5. 참여관찰의 기술


참여관찰의 기술. ① 현지민의 언어 습득 ② 분명한 의식 ③ 기억력 쌓기 ④ 천진함 유지하기 ⑤ 기록 ⑥ 배회 ⑦ 거리두기, 자신의 편견 접기. 


제4장 연구자와 제보자


1. 라포


2. 제보자 선정


제5장 연구자의 정체성


1. 연구자의 정체성 : 인종, 민족, 계급


2. 연구자의 정체성에 대한 자기 성찰 : 젠더


제6장 현지조사의 역사적 맥락


1. 식민주의 인류학


2. 인류학과 역사적 맥락


3. 현지조사에서 역사적 맥락 잡기


제7장 인터뷰


1. 인터뷰의 역사


2. 인터뷰의 종류


비구조화된 인터뷰 단계. ① 인터뷰 세팅을 검토 ② 응답자의 언어와 문화 이해 ③ 면담자 자신의 위치를 결정 ④ 제보자를 선정 ⑤ 신뢰감 확보 ⑥ 라포 형성 ⑦ 자료 수집.


3. 인터뷰의 성격


인터뷰 전략. ① 자연스럽게 행동하라. ② 인터뷰 시 하는 모든 연구자의 행위가 제보자에게 어떤 신호를 준다 ③ 기억력 쌓기 ④ 천진함 유지하기 ⑤ 기록 ⑥ 배회 ⑦ 거리두기, 자신의 편견 접기. 


4. 인터뷰의 진행


인터뷰 질문 전략. ① 광범위한 질문에서 구체적인 질문으로 진행하라. ② 논의를 이끄는 질문을 해라 ③ 구체적인 질문은 되도록 피하라 ④ 질문의 눈높이를 맞춰라 ⑤ 추후면접을 하라.


인터뷰 질문 준비. ① 질문은 인터뷰 전에 준비한다 ② 외부인의 이점을 이용한다 ③ 어떻게 이야기 되는가에 주의하라 ④ 사실이 이야기되어지는 순서도 또한 사실이다 ⑤ 추상적인 것에 대해 이야기하기 힘들다. 


5. 미래의 인터뷰


제8장 초점집단인터뷰


1. 초점집단인터뷰란?


초점집단인터뷰란 토론 집단을 인위적으로 만들어 연구자가 토의 주제를 제공하여 집단 토론 속에서 상호작용을 관찰, 기록하여 토론 내용을 분석하는 것이다. 초점집단인터뷰의 유용성. ① 연구자를 새로운 분야로 이끌어 준다. ② 제보자의 통찰력에 기반한 가설들을 만들 수 있게 해 준다. ③ 다양한 연구 현지나 연구 집단들을 평가할 수 있게 해 준다. ④ 인터뷰 일정과 질문지를 발전시켜 준다. ⑤ 예전의 연구결과들에 대한 참여자들의 해석을 제공해 준다. 


2. 초점집단인터뷰의 성격


참여관찰, 초점집단, 심층면접 비교

 참여관찰   초점집단   심층면접 
 자연스러운 환경   중간 절충, 조작적 환경   더 구조화된 환경 
 연구자의 통제 어렵다   연구자의 통제 가능   더 통제 가능, 일대일 대응 연구자의 시각이 더 반영 가능
 다양한 상호작용 관찰·분석 가능  집단 내에서의 언어 및 상호작용 관찰 가능   언어행위만 관찰 가능 상호작용 관찰 불가능 
 역할, 조직 연구에 더 적합   태도, 인식조사에 더 적합   개인의 심층적 태도, 인식 조사에 적합 


3. 초점집단인터뷰의 장·단점


집단인터뷰의 유형과 제 차원들

 형태   연구 세팅   면담자의 역할  질문 형식  목적
 초점집단  형식적, 미리 세팅됨  지시적   구조화   탐사적 연구, 예비조사 
 난상토론   형식적 또는 비형식적   비지시적   비구조화   탐사적 연구 
 명목상/델파이탐사   형식적  지시적  구조화  탐사적 연구, 예비조사
 현지조사, 자연적  비형식적, 자발적  비교적 비지시적  매우 비구조화  탐사적 연구
현상학적 연구

 현지조사, 형식적    현지에서 미리 세팅됨  다소 지시적  반구조화  현상학적 연구


초점집단인터뷰의 장/단점

 장점   단점
 연구 수행 용이  인위적 환경
 새 연구주체 탐색 용이  연구자의 통제가 약함
 집단 상호작용에서 자료 수집  개인 참여자의 행위 반영 안 됨


4. 초점집단연구의 다양한 적용


초점집단토론 관찰 시 유의점들 ① 참여자가 흥미있게 생각하는 것과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의 차이에 주목하라(토론이 길게 진행된다는 것은 그 주제가 흥미 있다는 것을 의미하지만, 그렇다고 그 주제가 반드시 중요한 것은 아니다). ② 어떻게 질문하고 답변하는가를 통해 다른 시각들이 드러난다. ③ 어떻게 참여자들이 동의하고 동의하지 않는지를 보라. ④ 어떻게 차이를 해소하고 합의를 만들어 가는지를 보라.


5. 초점집단인터뷰의 실행


제9장 생애사


1. 인간의 생애에 관한 연구 유형


2. 생애사 연구의 역사


3. 생애사


4. 구술생애사 인터뷰를 어떻게 하는가?


제10장 윤리적 문제들


1. 연구 참여자의 동의


2. 사생활 존중


3. 현지민의 신원 보호


4. 기타 윤리적 문제들


인류학적 현지소자 시 기본적인 윤리 준수 사항. ① 연구 목적을 명확히 밝혀라. ② 현지민들에게 연구자가 할 수 있는 것과 없는 것을 명확히 하라. ③ 현지민의 신원보호. ④ 현지민에 대한 보상. ⑤ 연구지원기관의 성격 파악.


제11장 문화기술지적 자료 정리


1. 문화기술지적 자료란?


2. 문화기술지적 자료의 종류와 정리


첫째는 언어분별의 원칙이다. 둘째 원칙은 말 그대로 쓰는 원칙이다. 셋째 원칙은 구체적인 언어를 쓰는 것이다. 


제12장 해석, 글쓰기 그리고 평가


1. 질적 자료를 어떻게 해석할 것인가?


2. 문화기술지 쓰기


3. 질적연구를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


신뢰도에는 세 가지 종류가 있는데, 첫째는 비현실적인 신뢰도다. 이것은 하나의 관찰방법이 변치 않는 측정결과를 내는 것을 말하는데, 대개 사소한 단순모방이다. 현지조사에서는 계속 똑같이 반복되는 정보나 변치 않는 특정 집단의 노선이 이에 해당한다. 둘째는 통시적인 신뢰도다. 이것은 다른 시간대에 관찰할 때 똑같은 결과를 내는 것을 말하고, 변하지 않는 것을 측정할 때 적합하다. 셋째는 공시적인 신뢰도다 이것은 유사한 상황이 같은 시간대에 일어나는 것을 말한다. 타당성은 근본적인 이론의 문제로서 세 가지 종류가 있다. 첫째는 명백한 타당성으로 이것의 예는 퀴즈의 정답, 대학시험문제의 답과 같은 것이다. 둘째는 도구적 타당성으로 실용적, 범주적 유효성을 말한다. 셋째는 이론적 타당성으로 이것은 이론적 틀이 얼마나 관찰에 상응하는가를 따지는 것이다. 즉 연구자의 분석과 해석이 연구자가 제시하는 근거 자료와 얼마나 일치하는가를 따지는 것이다. 


제3부 질적연구의 새 지평


제13장 글로컬 문화 연구


1. 전지구화 속의 문화 연구


2. 글로컬 문화 연구방법 모색


3. 글로컬 문화 연구 사례


4. 탈식민 시대 글로컬 문화 연구에서 자기 성찰


제14장 사이버 문화


1. 정보사회와 사이버 문화


2. 사이버 문화에 대한 인류학적 논의들


3. 사이버 문화를 어떻게 연구할 것인가?


4. 사이버 문화기술지


제15장 참여와 실천


1. 응용인류학과 참여, 실천


2. 개발사업과 인류학적 참여


3. 교육인류학과 대안교육


4. 질적연구방법과 여성의 권력화


5. 실천으로서의 구술사


6. 참여와 변혁을 향한 문화기술지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