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

[동네 걷기 동네 계획], 박소현/최이명/서한림, 공간서가, 2015, (170113).

바람과 술 2017. 1. 13. 13:15

추천의 글

들어가는 글

1장 동네에서 어디로 얼마나 걷나?

걷기, 동네 걷기, 연구

오래된 동네와 새 동네, 서울과 시애틀, 한국과 미국

동네에 대해 이야기할 때, 동설르 막론하고 흔히 전제하게 되는 흥미로운 구조 중 하나는 '오래된 동네'와 '새 동네'를 대비시키는 이분적인 프레임이다. 대개 오래된 동네가 갖는 긍정적인 면과 새 동네가 갖는 아쉬운 면이 부각되는 비교의 구조다. '뭐 때문에 더 걷게 될까'. 더 많이 걸을 것 같은 오래된 동네와 훨씬 덜 걸을 것 같은 새 동네는 우리나라보다 북미 근린환경에 더 적절한 분석구조다. 


걷기 기반의 동네 계획이 의미하는 것

동네, 좋은 동네, 동네 보행환경의 질


근린보행 관점에서 정성적 분석을 진행한 결과에 의하면, 동네 보행과 관련이 있는 동네환경 요소는 대략 5가지를 꼽을 수 있다. 이 요소들은 우리나라 걷기 기반 동네 설계의 핵심 요소로 간주할 수 있다. ① 근린상업시설의 다양성과 분포 방식. ② 문화, 상업공간으로의 접근성. ③ 공원 그리고 공원으로의 접근성. ④ 경사도. ⑤ 가로환경의 편의성과 쾌적성.'걸어서 많은 것을 편하게 할 수 있다'는 것은 물리적 환경 면에서 제반 보행 요소들이 적절히 계획되는 동네 계획 기법에 대한 언급이 된다. 반면 '그러다 보니 많이 걷게 된다는 것'은 보행의 사회적 가치 면에서 제반 보행 목적이 이루어진다는 동네 계획의 궁극적 목표에 대한 언급이 된다. 의식하지 않고 편하게 걸었더니, 늘어난 보행량으로 결국 몸과 마음의 건강이 좋아지고, 자동차를 그만큼 덜 타니 대기환경의 질도 높아진다. 더불어 공동체 교류 기회가 많아지며, 지역의 상업 이용도가 높아지니 지역경제도 나아지는 등 걷기로 얻어지는 직접, 간접의 오만 가지 장점이 나열 가능하다. 총 보행량이 많다는 것은 보행환경의 기초 조건을 어는 정도 갖추었다는 것을 의미하지만 이것이 바로 쾌적하고 안전한 보행환경을 조성했다는 것과는 또 다른 차원의 논의다. 


2장 동네 장보기, 물건 사기

사는 기쁨, 사는 고통

역시 사람은 목적이 있어야 걷는다. 


동네에서 걸어가 물건 사기, 장보기

동네 보행거리 외부에 있는 대형할인마트에 차를 타고 가서 장보기를 하는 것보다 동네 신선 채소 가게, 근린 재래시장, 단지 요일 장터, 생활협동조합 등을 더 자주, 더 많이 이용하고 있다. 대형마트가 보행권역 안에 있다면, 자주 걸어가서 물건을 살 것 같은가? 이것도 그렇지가 않았다. 동네 보행의 관점에서 봤을 때, 근린의 휴먼스케일, 작은 가게를 담아낼 수 있는 우리의 가로공간 구성방식을 되짚어 보고 싶다. 세 위계는 지역환경, 네트워크환경, 그리고 가로환경이다. ① 지역환경 : 지역 스케일 면에서 영향을 받는 요소들이 있다. 인구밀도, 주거유형, 지형과 경사도 그리고 매력적인 대형 목적지와 대중교통 등은 지역 스케일 면에서 구성이 가능해지는 것들이다. ② 네트워크환경 : 가로환경의 연결 상태를 의미하는데 가로 패턴, 가로 위계 분포, 교차로 밀도, 혼합용도분포 등의 특성으로 나타난다. ③ 가로환경 : 길에서 바로 접하게 되는 요소들이다. 보행과 차량의 조합 정도, 가로 디자인 특성, 가로 인지 요소 등의 특성으로 나타난다.  


편의점, 전통시장, SSM, 단지상가

보행 약자는 결국 동네에서의 쇼핑 약자다. 


카페, 식당, 문방구, 그리고…….

물건 사기, 장보기를 기반으로 한 동네 계획 시사점


흔히 동네에서 걸어가 물건을 산다고 하면, 이는 근린 내 보행생활권 영역으로 800m~1km 거리의 범위를 의미한다. 


3장 초등학교, 학교 가는 길

우리 사회에서 초등학교란?

근대 이전의 시대에 근린의 구역이 서구에서는 교구(parish), 즉 종교의 구역으로 생활 반경의 경계가 지어진 면이 있다면, 근대 이후의 근린의 구역 경계는 동서를 막론하고 학군(school district), 즉 학교를 기반으로 하는 여역으로 대체됐다고 볼 수 있다. 


도시 계획, 근린 계획, 초등학교

전업주부 엄마들의 경우 하루 일과의 많은 부분이 아이 데려다주기, 기다리기, 데려오기로 이루어졌다. 


등굣길, 하굣길

스쿨존에서 희생되고 있는 어린이들은 10만 명당 3명꼴로 OECD 국가 평균인 1.9명보다 훨씬 높은 수치다. 


초등학교와 통학로가 동네 계획에 의미하는 것

4장 마을버스와 동네 보행

마을버스로 이해한 우리 도시

마을버스와 동네 보행

마을버스 경로, 버스정류장, 동네상점

마을버스의 가능성을 기반으로 한 동네 계획 시사점

5장 근린 오픈스페이스, 그리고 공원

건강 증진 공공재로서 오픈스페이스

행당-일산 비교가 의미하는 것

관악-분당 비교가 의미하는 것

동네 오픈스페이스 정책에 어떤 의미를 가질 수 있나?

6장 동네 길, 돌아가기와 머무르기

동네 걷기의 양상, 동네 길의 의미

우회보행 : 얼마나, 어디로 돌아갈까?

머무르기 : 얼마나 자주, 어디에서 멈출까?

돌아가기, 머무르기가 동네 계획에 주는 시사점

나오는 글

추천 칼럼 : 보행 길의 발견과 새로운 삶의 시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