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마을을 품은 학교공동체], 강영택, 민들레, 2017, (180419).

바람과 술 2018. 4. 19. 10:14

머리말_마을 속의 학교, 학교 속의 마을 5

I부. 마을을 품은 학교공동체란

1장. 왜 마을을 품은 학교공동체인가

1. 공동체와 마을에 대한 높은 관심 …………………………‥ 17

2. 외로운 학교, 고립된 마을 …………………………………… 20

3. 공동체와 마을을 강조하는 교육정책들 …………………… 23 


4. 교육생태계의 복원 …………………………………………… 25


'교육생태계'라는 용어는 학교와 마을의 유기적 관계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개념이 될 수 있다. 즉, 학교는 학교를 둘러싼 환경의 사회문화적 요소들에 영향을 받으며 또한 동시에 영향을 주며 존재하고 있는 것이다. 


2장. 교육, 학교, 마을, 공동체

1. 학교에 대한 두 가지 이해 ……………………………………‥ 27

학교를 조직이 아닌 공동체로 이해하는 방식은 다양하게 존재할 수 있다. 크게 나누어 두 가지로 설명할 수 있는데 첫째는 학교 자체를 공동체로 보는 것이요, 둘째는 학교와 지역공동체의 연계를 강조하는 것이다. 


2. 공동체 …………………………………………………………… 30

3. 교육공동체 ……………………………………………………‥ 33

4. 학교공동체 ……………………………………………………‥ 37

서구사회에서는 학교공동체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다섯 가지 방향으로 이루어져왔다. 첫째는 교사들의 전문적 공동체이다. 둘째는 학생들의 학습공동체이다. 셋째는 학교에서 학생들이 경험하는 공동체 의식이다. 넷째는 사회정의를 포함하는 민주적 공동체이다. 마지막으로 다섯째는 다양성의 공동체이다. 다양성의 공동체란 말은 학교에 같은 성장 배경과 비슷한 생각을 가진 학생들만 있는 것보다 배경도 다양하고 생각도 창의적인 학생들이 있을 때 학교가 더욱 풍성한 공동체가 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학교의 세 가지 중요한 요소는 배움, 민주성, 배려라 할 수 있다. 이 요소들을 학교공동체에 반영하면 학교는 배움의 공동체, 민주적 공동체, 배려의 공동체가 된다. 


5. 마을학교공동체 ………………………………………………… 40

6. 마을교육공동체 ………………………………………………‥‥ 43

3장. 학교공동체의 사상적 토대

1. 그룬트비_삶을 위한 교육의 주춧돌을 놓다 ……………………… 48

2. 이승훈_마을학교공동체의 꿈을 이 땅에 심다 …………………… 65

3. 홍순명_마을을 품은 학교공동체에 헌신하다 ……………………… 80

진리의 공동추구.


4. 파커 파머_영성과 공동체를 살리는 교육을 실천하다 …………… 96

4장. 학교와 지역사회의 협력과 상생

1. 협력의 배경과 목적 ………………………………………… 118

20세기 말에야 한국 사회는 학교교육이 지역사회와 지나치게 분리되면 문제가 발생한다는 사실을 인식했다. 그래서 지역사회의 특성을 반영한 학교교육을 시행하고자 1995년 학교운영위원회라는 제도를 만들었다. 학교운영위원회는 학교운영을 학교장 일인에게 맡기기보다는 학교구성원들이 민주적으로 운영하도록 기획된 제도였다. 그 구성원에 교원, 학부모와 함께 지역 주민을 포함시킨 것은 교육에서 지역사회의 중요성을 인정한 결과였다. 1995년 지역사회가 학교 운영에 참여하는 제도적 장치가 생겼음에도 학교운영위원회가 실시된 지 20년이 지난 지금까지 학교와 지역사회의 연계는 그다지 활발하지 못하다. 그 제도의 의도대로 학교교육이 지역의 특성을 반영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2. 협력의 내용과 형태에 대한 이해 …………………………… 123

1) 학교와 지역사회를 연결하는 전통적 방법

올슨은 지역사회의 특성을 네 가지로 구분하여 제시했다. 첫째, 자연적, 생태적 측면에서 볼 때 지역사회는 자연에 의해 성립되며 일정한 지리적 장소를 공유한다. 둘째, 경제적 측면에서 볼 때 지역사회는 물품의 생산, 판매, 구입 등에서 어느정도 자립할 수 있는 범위를 포함한다. 셋째, 심리적 측면에서 지역사회 구성원들은 심리적, 사회적 통일을 이루고 있다. 넷째, 문화적 측면에서 지역사회는 일상생활의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결혼, 사교, 오락, 예술활동 등이 이루어지는 영역이다. 


2) 활동의 초점에 따른 학교와 지역사회의 협력

3) 세 가지 교육제도와 학교와 지역사회의 협력

4) 농촌지역 학교와 지역사회 협력의 내용과 방안

연구에 따르면, 농촌학교는 지역사회에 교육적 영향 외에 다섯 가지 중요한 영향을 끼칠 수 있다고 한다. 첫째, 경제적 영향이다. 둘째, 사회적 영향이다. 셋째, 학교는 지역 정치의 마당 역할을 한다. 넷째, 학교는 지역주민들에게 의료 보건 서비스를 제공하고 가족계획이나 건강교육을 실시하기도 한다. 다섯째, 학교는 지역사회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지역개발의 핵심이되는 사회적 자본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5) 관계의 성숙도에 따른 협력 양상의 변화

6) 평생학습이론에 따른 학교와 지역사회의 협력활동

7) 학교와 지역사회의 협력에 대한 학문적 논의의 네 범주

3. 학교와 지역사회의 협력 형태 ……………………………… 135

1) 지역사회의 교육문화센터로서의 학교

2) 교육자원 공급처로서의 지역사회

3) 지역사회 발전의 토대가 되는 학교

4) 교육과정으로서의 지역사회

4. 학교와 지역사회의 협력 모형 ……………………………… 147

1) 학교 주도 협력 모형

2) 지역사회 주도 협력 모형

3) 상호융합 모형

II부. 학교공동체의 다양한 모습들

5장. 홍동중학교 ……………………………………………………… 155

6장. 이성초등학교 …………………………………………………… 169

7장. 의정부여자중학교 ……………………………………………‥ 183

8장. 민들레학교 ……………………………………………………… 199

9장. 풀무학교 ………………………………………………………… 216

10장. 알바니 프리스쿨 ……………………………………‥‥……‥ 234

11장. 미국의 커뮤니티 스쿨 ……………………………………‥‥ 252

12장. 일본의 커뮤니티 스쿨 ……………………………………‥‥ 267

13장. 비교 분석 ……………………………………‥……………‥ 285

학교와 지역사회의 연계와 협력은 다양한 목표 아래 이루어지고 있다. 첫째 목표는 학교만으로 수행하기 어려운 교육활동을 지역사회의 도움을 받아 효과적으로 하고자 하는 것이다. 두번째 목표는 학교가 지역주민들의 평생교육의 장이 되어 지역사회의 교육력을 높이는 데 기여하고자 하는 것이다. 첫째 목표는 학생들의 교육을 위해 지역사회를 잘 활용하고자 하는 것이고, 두번째 목표는 지역주민을 위해 학교를 잘 활용하고자 하는 것이란 점에서 둘은 서로 대비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두 가지 목표는 어떤 면에서 유사성을 가진다. 학교와 지역사회에 산재해 있는 인적·물적 자원들을 발굴해서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데 주된 관심이 있다는 점이다. 즉 학교와 지역사회의 연계와 협력은 도구적 가치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셋째는 학교를 마을의 일부로 인식하여 상호협력을 통해 학교와 마을의 상생을 추구하는 것이다. 이는 앞의 두 목표처럼 단순한 자원의 활용에 관심을 두기보다 학교와 마을의 연대와 질적 변화를 추구한다. 양자의 연계를 통해 교육의 혁신과 마을의 공동체성의 회복을 이루어서 결국 학교와 지역의 지속가능성을 확보하고자 하는 것이다. 


시사점과 제언들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내에서 공동체성을 형성하기 위한 노력이 먼저 필요하다. 둘째, 공동체에 대한 바른 이해가 전제될 때 학교공동체의 형성과 학교와 마을의 협력 관계는 유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셋째, 학교와 마을이 서로 상생하는 마을학교공동체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분명한 의식을 가진 주체 세력이 필요하다. 넷째, 마을학교공동체의 지속가능성을 위해서는 마을주민들의 역량 강화가 중요하다. 


14장. 맺음말_함께 만들어가는 마을학교공동체를 꿈꾸며 … 311

참고문헌 ……………………………………………………………… 3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