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NGO)

저항의 공론장에서 협치의 공론장으로 - 이다현, 2019.

바람과 술 2019. 11. 4. 01:41

Ⅰ. 들어가는 말


Ⅱ. 한국의 정치적 상황과 시민사회 공론장


공론장의 개념적 기원이 고대 그리스까지 거슬러 올라갈 정도로 역사 속에서 다양한 형태로 존재해왔다. 근대 사회에 이르러 국가로부터 자율적인 시민사회가 분리되기 시작하였고, 국가 바깥의 사적인 영역에서 공적 의제에 대해 공개적으로 토론하는 공론장을 통해 시민은 공적 영역에 영향을 미칠 수 있었다. 즉. 공론장은 시민사회 내에 존재하는 공적인 공간으로, 그동안 국가가 독점래온 의제에 대해 시민 스스로 그 역할을 나눠 갖고 영향력을 행사하는 시민들의 공간이었던 것이다. 


Ⅲ. 공론장 민관협력의 방법


Ⅳ. 희망제작소의 공론장 운영 사례


Ⅴ. 결론 및 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