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지역)

2020년 자치구 마을생태계 조성사업 평가지표 개발 연구보고서 - 서울시 마을공동체 종합지원센터/한국자치행정학회, 2020

바람과 술 2021. 5. 21. 01:30

1. 서론

 

연구목적

 

연구범위

 

연구방법

 

2. 이론적 논의

 

마을생태계의 개념적 논의

 

마을생태계란, 주민주도에 의해서 마을공동체 활동과 사업을 성공적으로 실행하여 주민들의 삶의 질이 보장되는 지속가능한 지역사회가 되도록 만들기 위해서 필요한 ① 주민 및 주민조직(자생적 공동체 모임, 주민자치회, 지역사회보장협의체 등), 사업조직(사회적 경제조직 등), 중간지원조직, 직능단체, 정부(동주민센터, 진흥원 재단 등) 등과 같은 인적 자원, ② 마을공동체 활동 및 사업의 기반이 되는 자연자원, 역사문화공간과 핵심 거점시설들을 포함한 물리적 자원, ③ 법과 조례, 마을규약 및 협약, 지원사업을 포함한 통합적 지원체계를 포괄하며, ④ 이들 간의 유기적 관계망과 친밀한 협력적 상호작용의 일체를 의미함. 이들 구성요소들이 유기적 관계를 형성하면서 마을생태계 조성사업을 실행하여 마을공동체 활동의 기반인 정치적·행정적 기반강화, 지역사회의 인적·물적 환경개선이 이루어짐.

 

성과평가에 관한 이론적 논의  

 

평가는 방향통제, 예산지원, 동기부여, 학습기회 제공, 인센티브 제공, 성과개선, 성과홍보이 7가지 목적을 가질 수 있음.

 

<데밍사이클(PDCA)의 단계 설명>

Plan 환경분석 및 사업추진을 위한 전략체계 수립,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장/단기적인 계획을 설정
Do 사업수행의 적정성, 사업추진계획을 체계적으로 추진함
Check 성과확인, 실행한 결과를 토대로 원래의 계획과 차질이 얼마나 일어났는지 검토
Act 피드백 및 환류, 성과가 계획서와 얼마나 차이가 있는지를 검토 후, 미흡한 점 개선

 

<논리모형 단계>

단계 세부내용
투입 인적 및 물적 자원들과 아울러 파트너십이나 계약에 의한 서비스 등의 정책을 지원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다른 여러 가지 투입물
활동 정책의 산출물을 생산하는데 필요한 모든 활동 조치들로 이러한 활동들은 서비스의 제공, 법률이나 규제의 집행을 포함함
산출물 정책의 직접적인 고객이나 참여자들에 제공되는 생산물, 재화 및 서비스
결과 활동과 산출물들로부터 나오는 편익으로 사람의 변화를 기술한 것으로 상업적 이용 기술, 기술이전, 상업적 성과, 새로운 지식·기술·태도·형태 등을 말함
영향 결과가 정책의 성공과 실패에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으로 미치는 직접적·파생적 영향

 

기존 사업평가에 대한 비판적 검토

 

3. 자치구 마을생태계 조성사업의 실태파악과 함의

 

마을생태계 조성사업의 구성과 특징

 

자치구 마을생태계 조성사업의 운영실태에 대한 모니터링 결과

 

성과평가지표에 대한 의견수렴

 

4. 자치구 마을생태계 조성사업의 평가지표개발

 

성과평가 필요성

 

성과평가의목적

 

마을생태계 조성사업 성과평가체계

 

성과평가지표

 

성과평가 운영체계

 

5.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