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포스트 할리우드], 송낙원, 커뮤니케이션북스, 2007, (080212).

바람과 술 2008. 6. 15. 06:50

머리말

 

포스트 할리우드는 이미 1975년 스트븐 스필버그의 영화 <조스>의 엄청난 성공에서 시작되었다. 그 이전 뉴 아메리칸 시네마가 메이저가 붕괴된 미국 영화산업에 독립영화와 작가주의 영화로 새로운 구원이 되었다면, <조스> 이후에 새롭게 등장한 할리우드의 블록버스터 영화는 고전 시기 스튜디오 시스템이 갖고 있던 이윤 창출 시스템과 전혀 다른 방식으로 산업을 재편했다. 고전 시기의 할리우드가 순전히 극장의 박스오피스 수입만으로 수익을 창출했다면, 포스트 할리우드는 블록버스터 영화를 다양한 윈도에서 상영하고 다양한 상품으로 가공해 판해하여 수익을 다각화한 원소스 멀티유즈 전략으로 수익 극대화를 실현했다. 현대 미국 영화산업의 구조와 경영전략을 분석하기 위해 3가지 구체적인 시각에서 접근한다. 1. 파이낸싱 시스템의 변화다 2. 멀티플렉스 극장 체인 시스템 3. 새로운 네트워크 조직에 편입되는 윈도들이다.

 

1. 포스트 할리우드란 무엇인가?

 

고머리(Douglas Gomery)를 비롯한 많은 미국 영화산업사 연구자들은 할리우드를 4 가지 시기로 구분한다. 1.1900년 초기부터 1920년까지 스튜디오 설립 전 단계(첫번째 뉴 할리우드) 2. 1930년대에서 1950년대 초까지의 스튜디오 고전 시기 3. 슈튜디오가 극장 체인을 포기하고 텔레비전 제작에 뛰어들고 독립영화에 투자와 배급을 시작하던 1960년대에서 1970년대까지(아메키탄 뉴 시네마) 4. 미디어 그룹 간의 수직 통합화가 이루어지고, 스튜디오도 미디어 그룹의 일부로 재편되어 다시 극장 체인을 계열사로 포함시킬 뿐 아니라, 실제 극장보다 더 큰 이윤을 얻을 수 있는 비디오 시장, 케이블TV, 공중파TV, 위성TV 등의 상영 경로(Window)를 다각화하던 1980년대에서 현재까지이다(두번째 뉴 할리우드/포스트 할리우드). 토머스 샤츠는 포스트 할리우드 영화를 3가지 유형으로 구분한다. 1. 프랜차이징과 원소스 멀티유즈의 활용을 목표로 화려한 시각적 즐거움을 주는 블록버스터 영화 2. 스타 배우가 출연하여 드라마에 치중하는 메이저 영화 3. 특수한 관객층을 목표로 제작하는 저예산 독립영화. 포스트 할리우드 영화가 블록버스터 영화에 더욱 치중하게 된 데에는 투자되는 자본과 소비되는 영화의 주요 시장이 글로벌화하면서 스토리에서 지나치게 로컬적인 사회와 역사의 흔적이 지워지고 보편적 소재가 종종 클리셰로 치환되곤 하는 시스템이 이유가 되기도 했다. 포스트 할리우드 영화산업의 특징은 후기자본주의의 영향하에 글로벌화한 자본과 시장, 메이저 회사의 독과점적 시장 장악과 마이너의 다양성이 어울린 산업구조, 시장이 중심이 된 산업전략 마련과 정부의 최소한의 개입, 지금까지 있었던 영화, 방송, 통신산업 사이의 장벽 및 규제의 해제와 새로운 엔터테인먼트 복합 미디어 산업 단계로의 급변에 있다. 포스트 할리우드 시스템이 산업구조적으로 패러다임의 대변화를 했다는 것은 단순히 이미 제작된 영화를 판매할 상영 윈도가 추가되었다는 점이 아니라, 영화산업이 엔테테인먼트를 지향하는 거대 미디어 그룹의 일부가 되었다는 점에 있고, 이것은 정치경제학적으로 미국 경제의 가장 큰 기반이 되는 정보-군사-미디어 산업의 구조 체계 속에 한 부분으로 편입되어 같은 전략으로 움직인다는 점을 의미한다. 많은 사람들은 영화산업에 투자하는 것이 매력적이고 흥미고 있고 잠재된 수익률이 엄청날 것이라 오해한다. 예전 고전영화 시기에도 그랬듯이 현재에도 매주 주말 극장에서 개봉되는 영화 10편 중 6~7편은 손익분기점조차 넘기지 못하고 오직 1~2편만이 흥행에 성공한다. 그만큼 영화를 제작해서 수익을 내다는 것은 어려우며, 할리우드의 100년 시스템은 어떻게 하면 많은 돈을 벌 것인가보다는 어떻게 하면 적게 잃을 것인가라는, 투자금에 대한 손실 관리(risk management) 능력을 키우는 쪽으로 발전해 왔다. 1980년대 이후 현대 미국 영화산업에서 파이낸싱은 그 이전에 사용하지 않았던 다양한 방식들을 도입하고 있고, 이것이 미국 영화산업의 유연성과 창조성을 더욱 강화시키는 독립영화 제작을 강력하게 뒷받침하고, 산업 전체의 수익을 증가시키는 데 큰 역할을 하고 있다. 메이저 스튜디오는 이제 제작기능을 축소하고 투자 배급에 집중함으로써, 가장 창조적이어야 할 제작은 독립영화제작사가 담당하고 자신들은 시스템과 대자본으로 작품마다의 흥행성적에 일희일비하지 않고 산업 전체에서 나오는 안정적 수익을 얻는 것을 지향하게 되었다. 또 이과정에서 투자의 조건으로 스튜디오의 시설을 임대하고, 배급과 상영 단계에서 각종 수수료를 우선적으로 제하거나 수익을 나눌 때 스튜디오에 유리한 조건을 수용하게 하면서 사업의 수익성을 극대화하는 구조를 만들었다. 1980년대 중반 이후 마치 광풍처럼 번져간 멀티플렉스 극장 체인 확대의 배경에는 미국 영화산업 자체의 구조적 변화가 주원인인 것이다. 우선 미국 영화산업은 1990년대 스튜디오가 자체제작보다는 독립영화제작사에 대한 투자와 배급을 주로 하면서 위험을 피하고 수익을 높이는 경영전략을 사용해 연간 제작 편수가 증가하게 되었다. 그렇게 되니 제작된 영화를 개봉할 스크린 확보가 스튜디오 쪽에서 보자면 점점 어려워졌다. 또 1980년대 이후 할리우드는 여름 시즌을 기준으로 많은 블록버스터 영화들이 등장하게 되는데 이영화들의 제작비는 매년 급상승하고 있다. 스튜디오는 투자와 배급을 책임져야 하기 때문에 가능한 한 위험을 줄이고 최대한의 수익을 끌어 모으기 위해 전국적으로 최대한의 스크린을 확보하고 마케팅 물량 공세를 통해 가장 빠른 시간 안에 수익을 얻는 전략을 취하게 되었다. 이러자면 공급자 측에서는 자연히 지속적으로 더 많은 스크린 수를 요구하게 된다. 또 극장사업자 측에서 보자면 하나의 사이트에 여러 개의 스크린을 보유하는 멀티플렉스나 메가플렉스 극장은 개봉하는 영화의 종류나 흥행여부에 따라 상영하는 스크린 수와 좌석 수를 탄력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2. 영화산업 분석 이론

 

1. 영화산업의 개념과 가치사슬적 특성

 

영화산업은 다른 산업과 크게 구별되는 3가지 특징이 있다. 1. 영화산업의 동태성으로 수요의 탄력성이 매우 높고, 이는 수요를 정확히 예측하기 힘든 불확실성을 동반한다 2, 영화산업의 고부가가치성으로, 그 동인은 복제상품이라는 데 있다 3. 영화는 다양한 상영방식으로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원소스 멀티유즈의 전형적인 상품이다. 우리가 흔히 착각하기 쉬운 것은 영화산업은 하나의 상품이 여러 다양한 상영방식으로, 또 다양한 윈도를 통해 소비되는 것이라, 비디오/DVD산업, 케이블TV산업, 신디케이션산업, 위성TV산업, 디지털VOD산업은 유사 업종으로의 사업 다각화가 아니라, 각기 다른 상영 시스템이 수직으로 묶여진 수직 통합화의 구조라는 점이다.

 

2. 다섯 가지 힘의 모델과 네트워크 조직이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