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문화산업)

콘텐츠산업의 문화적 가치 연구 - 한국문화관광연구원(이윤경), 2011.

바람과 술 2012. 6. 30. 03:12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연구 배경


콘텐츠산업은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높은 고용창출 효과 등의 산업적 측면이 강조되어 왔으나 콘텐츠산업의 문화적 가치의 중요성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소홀히 다뤄져 왔음. 선진국의 콘텐츠산업 정책은 디지털 미디어 산업구조가 급변하면서 콘텐츠산업이 가지는 문화적 가치를 보호하기 위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음. 


2. 연구 목적


제2절 연구 범위 및 방법


1. 연구 범위


2. 연구 방법


제2장 문화적 가치의 개념 및 중요성


제1절 문화적 가치의 개념


1. Holden의 문화적 가치


Holden은 문화적 가치를 도구적 가치(Instrumental Value), 공적 가치(Institutional Value), 본질적 가치(Intrinsic Value)로 구분하였음. 도구적 가치는 사회, 경제적 목적을 위해 문화를 활용할 때 방생되는 가치를 의미함. 도구적 가치는 사회, 경제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문화가 활용되어질 때 나타나는 것으로 결과물, 성과, 영향력 등을 중요시 하는 경향이 있음. 공적 가치 공익을 목적으로 하는 조직에서 시민들과 연계하면서 창출해내는 신뢰와 존중의 가치를 의미함. 공익적 책무가 있는 조직이기 때문에 신뢰나, 시민들 간의 상호 존중, 사회적 네트워크를 위한 환경 조성 및 경험의 공유 등이라는 가치를 창출함. 본질적 가치는 문화영역에  대한 지적, 감성적, 정신인 경험 가치를 의미함. 본질적 가치는 문화영역에서만 존재하는 가치로, 정의를 내리기가 매우 어렵다는 평가를 받고 있음. 


2. Throsby의 문화적 가치


Throsby의 연구는 앞서 서술한 Holden 연구의 본질적 가치와 공적 가치와 가깝게 연결되어 있음. Throsby 문화적 가치는 이용자가 제품이나 서비스에 대해 지불하고자 하는 의사나 선호하는 가격 등으로 측정되는 경제적 가치와 구분될 수 있다고 주장하였음. 최근 연구에 따르면 특별하게 미학적 경험과 관련해서 문화적 가치가 경제적 가치를 결정하는 근본적인 역할을 수행한다고 보고 있음. 이러한 시각은 소비자들이 제품을 구매할 때 일반적으로 문화적 가치를 높게 인식할수록 더 높은 가격을 지불하고자 한다는 것임. Throsby는 문화적 가치를 미학적(Aesthetic), 정신적(Spiritual), 사회적(Social), 역사적(Historic), 상징적(Symbolic), 전통적(Authenticity) 가치로 구분하였음. 


제2절 문화적 가치의 중요성


Throsby 문화상품에 대하여 지불할 의사가 있음을 측정하는 척도를 경제적 가치 측정이라고 정의하고, 이러한 척도는 문화상품의 가치를 적절하게 표현한다고 볼 수 없다고 주장하였고 그 이유는 다음과 같음. 첫째, 문화적 가치는 그 작품 및 기타 문화적 현상 등 존재만으로 고유한 가치가 있으며, 그 작품에 대한 소비자의 반응과는 독립적으로 존재하기 때문임. 둘째, 문화상품이 경제적 가치의 기본이 되는 개인효용 기반의 체험재로 보더라도 경제적 가치로 환산이 안 되는 가치가 존재함. 셋째, 경제적 가치로 환산되더라도 환산된 경제적 가치와 문화적 가치는 때때로 비선형적인 관계를 가짐. 넷째, 문화상품을 소비하면서 느끼는 연대감, 일치감처럼 집합적 의미에서는 존재할 수 있지만 개인에게 분리해서 귀속시킬 수 없는 측면이 존재하기 때문에 개인의 효용을 기반으로 분석하는 경제적 가치 분석방법에 한계가 있음. 


제3장 해외 콘텐츠산업 정책에서의 문화적 가치


제1절 융합환경 대응 정책에서의 문화적 가치


1. OECD·EU : 수평적 규제체계를 통한 문화적 가치 보호


2. 영국 : 융합환경에 대응하기 위한 콘텐츠 공공성의 재정립


제2절 자유무역 대응정책에서의 문화적 가치


1. 중국 : 문화상품 보호 정책


제3절 시사점


OECD, EU는 융합환경에 대응하기 위하여 수평적 규제체계를 정립하면서 네트워크와 콘텐츠의 규제정책을 분리하여 콘텐츠만의 문화적 특성을 정립하고자 함. 전송수단과 분리된 콘텐츠에 대해서 미디어의 다원성, 문화적 다양성, 자국 콘텐츠 보호, 콘텐츠 제작에 대한 지원, 공정성, 표현의 자유, 공공성, 사회적 약자의 보호 등의 문화적 가치에 대한 정책지원이 강조되고 있음. 영국에서도 융합환경 대응을 위한 EU의 권고사항을 따라 커뮤니케이션청(OFCOM)을 출범시키고 콘텐츠의 공공성 강화를 위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음. 중국은 자국의 문화상품이 문화적 가치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일반 상품과는 차별화된 관리가 필요하다고 주장하면서 대외무역 보호 정책을 추진하고 있음. 이러한 사례를 통해 콘텐츠산업에 대하여 상업적 가치뿐만 아니라 문화적 가치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일반상품과 차별적으로 관리하는 해외 정책들을 접할 수 있었음. 


제4장 콘텐츠산업의 문화적 가치 분석을 위한 전문가 조사


제1절 조사개요


1. 조사목적


2. 조사방법


제2절 콘텐츠산업의 특성


1. 콘텐츠산업의 특징


2. 콘텐츠산업의 특성에 기반한 발전 방향


제3절 콘텐츠산업의 문화적 가치


1. 문화적 가치의 필요성


2. 콘텐츠산업의 문화적 가치


제4절 콘텐츠산업의 지원정책 방향


1. 지원정책의 기조


2. 정책기조 전개를 위한 실천방향


제5절 소결


제5장 콘텐츠산업의 문화적 가치 분석을 위한 소비자 조사


제1절 조사개요


1. 조사목적


2. 조사방법


제2절 콘텐츠산업의 문화적 가치 조사결과


1. 콘텐츠산업과 제조업에 대한 인식


2. 콘텐츠산업의 소비행동


3. 콘텐츠산업 관련 국가정책에 대한 인식


4. 전반적인 삶의 질에 대한 인식


5. 콘텐츠산업의 문화적 가치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제3절 소결


제6장 콘텐츠산업 문화적 가치구현을 위한 정책방향


제1절 콘텐츠산업의 문화적 가치


1. 문화적 가치 분석을 위한 틀 도출


2. 콘텐츠산업의 미적 가치


3. 콘텐츠산업의 정신적 가치


4. 콘텐츠산업의 사회적 가치


5. 콘텐츠산업의 역사적 가치


6. 콘텐츠산업의 상징적 가치


7. 콘텐츠산업의 행복가치


8. 콘텐츠산업의 문화적 가치 측정


제2절 문화적 가치 구현을 위한 정책방향


1. 정책기조


2. 정책기조 전개를 위한 실천방향


3. 콘텐츠산업 문화적 가치와 지원정책 요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