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

[행복에 걸려 비틀거리다], 대니얼 길버트, 서은국/최인철/김미정, 2006, (141229).

바람과 술 2014. 12. 29. 04:25

말콤 글래드웰 추천사_ 말콤 글래드웰이 읽은 『행복에 걸려 비틀거리다』 

옮긴이의 글_ 상상에 갇힌 행복 

저자서문_ 우리의 행복은 왜 항상 예측을 벗어날까? 

1부. 전망 

Chapter 1_ 상상, 미래로 가는 여행 

'다음next'을 생각하는 기쁨


미래를 내다보게 된 '원숭이'


전두엽이 손상된 환자들이 지능검사나 기억력 테스트 같은 표준적인 검사들을 잘 수행하는 경우도 있었지만, 계획을 필요로 하는 테스트에서는 종류를 막론하고(아주 간단한 테스트조차도) 심각한 문제를 나타냈던 것이다. 즉 사람들은 전두엽의 일부가 손상되면 침착해지는 반면 계획하는 능력을 상실한다는 것은 한 가지 공통점을 지니고 있다. 대체 불안과 계획을 연결시키는 개념적인 고리는 무엇일까? 그것은 둘 다 미래에 대해 생각한다는 점이다. 우리는 무언가 나쁜 일이 일어날 것이라고 예상하면 불안을 느끼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불안에 어떻게 반응해야 할지를 계획한다. 계획하기는 미래를 내다보는 일을 동반하며, 이럴 때 나타날 수 있는 반응 중 하나가 불안이다. 


우리는 왜 미래를 상상하는 걸까?


무서운 상상은 말 그래로 우리를 공포에 떨게 만든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왜 이런 것들을 장황하게 만들어 내려고 하는 걸까? 여기에는 두 가지 이유가 있다. 첫째, 불쾌한 사건을 예견함으로써 그것이 불러올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우리가 굳이 불쾌한 사건을 상상하면서 고통을 경험하는 두 번째 이유는 공포, 염려 그리고 불안이 우리 삶에서 유용한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이다. 마찬가지로 우리도 자기 자신을 기다리고 있을지도 모르는 내일의 불쾌한 일들을 상상해봄으로써 스스로를 준비시킨다. 예측하는 것은 공포를 내다보는 일이 될 수 있지만, 이때의 목적은 미래의 예측보다는 특정한 모습의 미래를 예빵하는 데 있다. 한 마디로 말해 가끔 우리는 스스로 정신을 차리도록 하기 위해 어두운 미래를 그려보기도 하는 것이다.


우리에게 커다란 전두엽이 있어서 미래를 내다볼 수 있다. 덕분에 예측을 할 수 있고, 예측할 수 있기 때문에 통제할 수 있다. 그렇다면 대체 미래를 통제하고 싶은 이유는 무엇일까? 이 질문에는 두 가지 대답이 존재하는데 그중 하나는 기가 막히게 맞는 대답이고, 다른 하나는 말도 안 되게 틀린 대답이다. 기가 막히게 맞는 대답은 이것이다. 사람들은 통제력을 행사하는 데서 만족감을 느낀다. 통제력을 통해 얻는 미래 때문이 아니라, 뭔가 통제한다는 사실 그 자체가 만족감을 주는 것이다. 무언가에 변화를 일으키고 영향력을 행사하고 어떤 일이 일어나도록 만드는 유능한 존재가 되는 것은, 인간의 뇌가 자연스럽게 원하는 기본적인 욕구 가운데 하나다. 인간은 통제에 대한 열정을 지니고 이 세상에 왔고, 그 모습 그래도 이 세상을 떠난다. 통제하고 싶은 우리의 욕구는 상당히 강력할 뿐 아니라 통제력이 있다는 늒미은 매우 뿌듯하기 때문에, 사람들은 종종 통제할 수 없는 것들도 통제할 수 있을 것처럼 행동하기도 한다. 통제력에 대한 착각의 가장 이상한 점은 이런 환상이 일어난다는 사실 자체가 아니라, 그 착각이 우리에게 주는 심리적인 이득이 진정한 통제력이 주는 이득과 별반 차이가 없다는 사실이다. 실제로 자신의 통제력에 대해 크게 착가하지 않는 사람들은 임상적으로 우울한 것으로 나타났다. 우울한성향의 사람들은 대부분의 상황에서 눈앞의 현상을 어느 정도까지 통제할 수 있을지에 대해 보통사람보다 더 정확하게 예측하는 경향이 있다.  


2부. 주관성 


Chapter 2_ '안'에서 '밖'을 내다보기 

오, 타인의 눈을 통해 행복을 본다는 것은 얼마나 쓰라린 일인가! - 셰익스피터, <뜻대로 하세요>


여러 종류의 행복


행복에 관한 수천 권의 책은 대부분 행복이 무엇인가에 대한 물음을 던지며 시작한다. 이는 독자들에게 마치 긴 성지순례를 시작하는 기분을 느끼게 하는데, 이것은 처음부터 빠져나오기 힘든 웅덩이를 향해 무작정 나아가는 것과 같다. 그 이유는 '행복'은 우리를 즐겁게 해주는 무언가를 지칭하기 위해 우리가 편의상 이름붙인 단어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니기 때문이다. 문제는 사람들이 행복이라는 단어 하나로 각자 생각하는 무수한 것들을 지칭하려 한다는 점이다.  


행복은 정말 비교 가능한가?


행복의 언어 

Chapter 3_ '밖'에서 '안'을 들여다보기 

감정에 대한 우리의 무지


실제 경험하는 감정을 자각하지 못하는 인간


행복을 측정하는 것이 가능한가?


사람들이 신경 써서 제공하는 자기 보고가 그들이 내면 경험을 나타내주는 불완전한 근사치라 할지라도, 그것이 우리가 사용할 수 있는 전부다. 따라서 보다 확실한 것을 원한다면 다수의 법칙에 의거하여 불안전함이 상쇄될 때까지 반복적으로 측정하면 된다. 한순간에 어디든 존재할 수 있는 유동적인 입자들이 엄청나게 많이 모이면 그때는 그 유동성을 잃게 된다. 동일한 논리로 주관적 경험에 대한 보고가 불완전하지만 그것이 무수하게 모이면 그 오류는 없어진다. 모든 과학에서처럼 행복의 과학에서도 확률게임을 할 수밖에 없고, 그렇기 때문에 이 과정에서 얻게 되는 정보에는 항상 오류가 있을 위험이 있다.  

3부. 현실주의 

Chapter 4_ 마음의 눈에 존재하는 맹점 

현실을 왜곡하는 뇌의 마술


수많은 심리학자가 다양한 실험을 통해 사건이 발생한 후에 습득한 정보가 사건 그 자체에 대한 나중 기억을 변화시키는 현상을 밝혀냈다. 이 현상으로 많은 과학자가 다음의 두 가지에 대해 확신하게 되었다. 첫째, 기억 행위는 실제로 저장되지 않았던 세부사항을 나중에 '채워 넣는' 것까지 포함한다. 둘째, 채워 넣는 작업은 무의식적으로 재빠르게 일어나기 때문에 이 작업이 펼쳐지고 있다는 것을 우리는 간과하지 못한다. 


채워넣기 현상은 과거에 대한 우리의 기억을 왜곡한다. 그리고 그 현상은 우리의 지각 과정에도 영향을 준다. 


현실과 주관적 경험 사이의 혼동


뇌가 말해주지 않았던 부분 

Chapter 5_ 존재하지 않는 것들의 위력

 
보이지 않는 정보들의 위력


사건의 지평선 

4부. 현재주의 

Chapter 6_ 현재의 경험으로 미래를 예측하다 

오늘과 비슷한 내일을 예측하는 실수


과거가 여기저기 구멍 뚫린 벽이라면 미래는 큰 구멍 자체이다. 과거에 대한 기억은 채워넣기 속임수를 사용하지만, 미래에 대한 상상은 그 자체가 채워 넣는 속임수다. 


미리 느껴보기prefeeling의 특징 

Chapter 7_ 시간을 상상할 수 없다는 치명적인 약점

 
시간을 공간처럼 생각하기


현재를 출발점으로 미래를 생각한다


미래에 대한 생각은 현재에서 출발해 현재로 끝난다


가능한 대안들과 비교하기


비교하기와 현재주의 

5부. 합리화 

Chapter 8_ 우리만의 천국 

경험의 모호함


사실을 자기에게 유리한 방향으로 조작하기 

Chapter 9_ 현실에 대한 면역 

과거에 대한 평가를 미리 예측하기


심리적 면역체계를 작동시키는 요인들


설명되지 않은 사건의 강한 여운 

6부. 교정 

Chapter 10_ 반복되는 실수 

아주 드문 일들이 기억에 잘 남기 때문에 범하는 실수들


끝이 좋으면 모든 게 좋다고 믿는 착각


우리가 선택하지 않았던 방식 

Chapter 11_ 내일로부터 온 삶의 보고 

초복제자Super replicator


지문fingerprints에 대한 신화 

저자후기 : 행복을 발견하게 해주는 간단한 공식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