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지역)

지역공동체의 이해와 활성화 중 지역공동체 생태계, 하현상 외, 2017.

바람과 술 2020. 3. 16. 02:55

□ 지역공동체 생태계의 정의


○ 지역공동체 생태계란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다양한 공동체 구성원들이 밀접한 관계망을 구축하고 체계적으로 상호 지원하면서 자생적으로 지속되기 위한 구성요소간의 관계를 의미


○ 지역공동체 생태계의 구성원 주민 및 주민조직, 중간지원조직, 자생단체, 중앙정부 및 지방자치단체 등과 같은 인적 구성요소, 공동체 활동의 기반이 되는 자연자원과 핵심시설들을 포함한 물리적 구성요소, 지역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통합적 지원체계 등으로 구성


□ 지역공동체 생태계의 조성과 역할


○ 지역공동체 생태계 조성의 목표는 다양한 마을공동체 주체들과 가까운 이해관계자의 연계 및 유기적인 관계망 구축을 통한 지역공동체를 형성하는 것

- 지역공동체 생태계의 구성원 주민 및 주민조직, 사업조직, 중간지원조직, 자생단체, 중앙정부 및 지방자치단체 등과 같은 인적 구성요소, 공동체 활동의 기반이 되는 자연자원과 핵심시설들을 포함한 물리적 구성요소, 지역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통합적 지원체계 등으로 구성

- 지역공동체는 근린생활권의 생활자치기구 및 법적․공식적 주민조직과 자생적 주민조직(마을모임, 주민동아리 등)의 관계형성을 통하여 공동체 생태계를 확대․발전

- 구체적인 활동을 보면, 주민주도적, 민주적, 형평적인 마을활동과 사업을 추진하고 주도함, 그리고 마을활동과 사업에 관련된 다양한 지역 내․외의 이해관계자 간의 유기적인 관계망 구축을 촉진하고 지원


○ 지방자치단체, 지역 내 공공기관, 주민자치기구의 참여와 공유를 통하여 마을공동체 활동의 이해관계자들과 유기적 관계를 형성


○ 지역공동체 생태계는 지역 내의 소상공인 및 전통시장, 기업체 및 산업시설, 금융기관, 대학교 및 연구소, 언론과 NGO, NPO 등 다양한 민간조직․단체와의 교류를 통하여 마을공동체 활동의 가치를 순환하고 확대


○ 지역공동체의 생태계는 마을이 보유하고 있는 자연자원, 역사와 문화, 공유자산과 교통 및 입지, 특정한 기술과 재능을 가진 주민 등 다양한 물리적․문화적․인적 자원들이 있음


○ 지역공동체 지원체계는 지역공동체 생태계를 강화시키고 지역공동체의 안정적인 발전을 위해서 핵심적 역할


□ 지역공동체 생태계 조성의 발전 방안


<마을 발전단계별 생태계 조성정책>


① 태동기의 추진전략


○ 태동기의 ‘앵커전략’은 중간지원조직의 구축을 중심으로 하는 교육, 컨설팅, 지원, 연계 등의 허브기능 수행으로 대표되며, ‘플랫폼전략’은 제도적 기반의 마련과 같은 법․조례의 제정과 개정 등으로 대표


○ 태동기의 ‘학습조직 전략’은 주민과 주민조직의 역량을 강화하는 정책사업으로 대표되며, ‘공유자산 구축 전략’은 마을기금 및 공유재산의 물리적 기반을 므련하여 지속가능한 공동체를 구축하는 것으로 설명


② 형성기의 추진전략


○ 형성기의 ‘앵커전략’은 마을공동체 주민 및 조직의 발굴과 육성을 위한 행정․재정적 역량 구축과 정책적 노력, 민관협력 등이며, ‘플랫폼 전략’은 공유 인프라 구축을 통한 상호 연계적 협력으로 시너지 창출과 효율성 제고를 위한 전략이 있음


○ ‘학습조직 전략’은 주민이 주체가 되는 참여형 워크숍 프로그램 운영 등이 있으며, ‘공유자산 구축 전략’은 마을주민 공유공간의 건축 및 리모델링, 운영 등의 지원사업이 있음


③ 발전기의 추진전략


○ 발전기의 ‘앵커전략’은 주민조직들 간의 2~3차 조직을 구축하고 근린생활권의 이해관계자 거버넌스 또는 협력체계를 추진하는 것이며, ‘플랫폼 전략’은 공동체들의 플랫폼을 통한 정보 공유로 연계협력이 활성화되는 것


○ 발전기의 ‘학습조직 전략’은 지속적인 역량강화를 목적으로 하는 평생학습형 마을만들기, 동료학습 지원사업 등이 있으며, ‘공유자산 구축 전략’은 공유자산의 활용을 통한 수익창출 방안을 모색하는 것


④ 정착기의 추진전략


○ 정착기의 ‘앵커전략’은 주민공동체들의 전문적 지원을 위한 지원기관과 결합하는 것이며, ‘플랫폼 전략’은 앵커기관의 고도화 지원사업을 통해 플랫폼의 개방화․고도화를 지향하는 것


○ 정착기의 ‘학습조직 전략’은 마을공동체 내의 상시화 된 조직학습 허브를 구축하는 것이고, ‘공유자산 구축 전략’은 공유자산의 확보를 위한 크라우드펀딩을 확대하는 전략


⑤ 확산기의 추진 전략


○ 확산기의 ‘앵커전략’은 다양한 형태의 커뮤니티 벤처를 육성하고 지원하는 것이며, ‘플랫폼 전략’은 크라우드펀딩 플랫폼의 구축 및 경진 등을 통해 연계적 사회적자본을 확충하는 것


○ 확산기의 ‘학습조직 전략’은 리더, 활동가, 마을기업인들에 대한 체계적 학습을 제공하는 것이며, ‘공유자산 구축 전략’은 경제적 성과를 지역사회에 환원시키는 정책사업을 추진하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