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배움

[코로나19, 한국 교육의 잠을 깨우다], 지식공작소, 2020, (201209).

바람과 술 2020. 12. 9. 01:33

머리말 : 혁신 정책 20년보다 더 나간 코로나 석 달

Ⅰ 비대면 수업, 변화의 촉매일까

 

토론 : 사회 강대중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교수)김차명 (경기도 시흥시 배곧초등학교 교사, 참쌤스쿨 대표)이예슬 (경기도 하남풍산초등학교 교사)조기성 (서울시 계성초등학교 교사, 스마트교육학회 회장)

 

01 언택트 시대의 교실, 다시 수업을 생각하다

 

본래 수업은 교사와 학생이 만나는 일이다. 수업의 핵심이 '만남'이기 때문에 그 속에서 대화가 있고, 접촉이 있고, 공감과 끄덕임이 있고, 재미와 즐거움을 비롯한 여러 감정들이 있다. 

 

열린 교실, 민주적 교실, 맞춤형 수업

 

환경 따라 학습 격차, 학생 지도에도 한계

 

언택트 시대 교실, 교사-학생 행복한 연결

 

02 미래교육, 계성초등학교 사례

 

1인 1디바이스의 스마트교실

 

교원학습공동체 조직, 수업 기술 향상

Ⅱ 입시와 사교육에 시위 당긴 교육의 본질

 

토론 : 사회 강대중(서울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유대영(보습학원 운영, 착한입시상담소 운영자)전대원(경기도 성남시 위례한빛고 교사)황성희(강원대학교 강사, 교육학 박사)

 

03 코로나19와 우리나라 입시

 

바칼로레아 취소한 프랑스와 단순 비교

 

형식적 공정성에 집착하는 입시 문화

 

표준 평가에서 개별 평가로

 

표준화는 치킨 게임을 조장하며 평가 시스템을 경직시킨다면 해답은 간단하다. 표준화의 반대는 개별화다. 평가의 기준이 개별화될 때 우리는 더 이상 치킨 게임에 매달리지 않아도 된다. 금수저 전형이라는 항간의 오명을 뒤집어 쓴 것과 달리 학종은 교육 환경에 따른 입시 결과의 차이를 줄여왔다. 학종의 부정적 단면만 보고 기존의 평가 방식을 고수한다면 앞으로 나아갈 수 없다. 

 

04 코로나19 이후의 학교 교육

 

온라인 강의는 익숙, 온라인 개학은 처음

 

규제 중심 학교도 IT환경 일시에 개선

 

우수한 인프라, 디지털 적응력, 교사 역량

 

05 재택형 온라인 수업과 학부모

 

학교에서 가정으로 옮긴 교육의 장

 

학교라는 공간에서 교사의 관리 하에 있던 다수의 일들이 가정이라는 공간으로 이동하면서 학부모의 역할과 교육역량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온라인 개학 학부모 만족, 초등 66.5% 고등 37.5%

 

재수생에 밀리는 고3, 대학 가는 문 멀다

 

소통은 만족, 교육내용과 방법은 개발

Ⅲ 코로나19 시대의 대학, 위기인가 기회인가?

 

토론 : 사회 강대중(서울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이영(한양대학교 금융경제학부 교수, 전 교육부 차관)채재은(가천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06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대학혁신 방향

 

교환학생 인턴십 해외유학 국제학술활동 모두 중단

 

대학 교육과정 전면적 변화 요구

 

에듀테크 앞선 대학, 새로운 강자 등장

 

07 코로나 사태 이후의 사회정책 방향

 

복지제도 개편 계기 잡았다

 

복지제도의 세 기둥과 우리나라 복지제도의 역사

 

우리에게 적합한 복지국가 모형과 정책조합

Ⅳ 코로나19가 제기한 미래교육 방향

 

토론 : 사회 강대중(서울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이길호(타임교육 대표, 에듀테크협회 회장)전유택(에누마 한국지사장)최진영(종로학원하늘교육 사장)

 

08 코로나와 교육산업

 

모두가 경험한 기술

 

교육글로벌라이제이션의 새로운 정의

 

김연아, 봉준호, 손흥민, BTS, 페이커 키우는 학교

 

09 디지털 교육 실험, 에누마 사례

 

디지털 기술이 기초 문해와 수리 능력 해결

 

디지털 교육, 재미와 통합이 과제

Ⅴ 코로나19 시대 사회안전망 촘촘한가?

 

토론 : 사회 강대중(서울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김경애(한국교육개발원 연구위원)부은희(사단법인 청소년과나란히 이사장)최예린(남서울대학교 아동복지학과 부교수)

 

10 감염병 위기 시대, 교육복지체제에 대한 질문

 

학교·공공기관 문 닫자 교육복지체제 정지

 

연대보다 격리가 미덕

 

재난 대비는 자립 역량과 건강한 정신

 

11 코로나19 이후 유아교육기관의 긴급돌봄 쟁점

 

비대면이 불가능한 아이들

 

긴급보육의 의미 퇴색

 

보육료 결제시스템의 한계

 

공존을 위한 협력

Ⅵ 시민 연대망 그리고 학교교육, 평생교육, 지역사회

 

토론 : 사회 강대중(서울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김미윤(서울시 은평구 은평정책연구단 단장)박승원(경기도 광명시장)

 

12 포스트 코로나시대를 위한 교육 협력

 

공공도서관 책 배달 서비스, 심리 방역 효과

 

학교 행정과 지역 특성의 결합

 

13 코로나19 이후 평생교육, 위기에서 배우는 법

 

문제해결력, 순발력, 회복탄력성 지식 필요

 

첫째, 코로나 이후 평생교육의 뉴노멀은 '지식축적'이 아닌 '문제해결'이 되어야 한다. 둘째, '로컬택트(지역사회 관계망)' 기반 평생 학습 생태계가 활성화되어야 한다.

 

로컬택트 기반 평생학습 생태계

 

셋째, 이제 낡은 가치, 낡은 배우을 과감하게 버리고, 시민들의 행복한 삶을 위한 지속가능한 가치를 전면적으로 교육의 내용과 방법에 담야야 한다.

 

자발적 시민 연대가 만드는 유연한 공동체

맺음말 : 교육2020, 백일몽에서 백년대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