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인문사회)

조직 환경의 재개념화 : 공진화론 관점에서의 기술 환경과 제도 환경 간의 관계 재정립 - 김명환, 2018

바람과 술 2021. 10. 11. 13:46

1. 서론

 

2. 조직의 두 가지 환경 : 기술 환경과 제도 환경

 

① 환경에 대한 개념화

 

② 주요 이해관계자

 

③ 환경의 특성

 

④ 주요 관심사

 

<기술 환경과 제도 환경과의 비교> ○

  기술 환경 제도 환경
환경에 대한 개념화와 맥락 ○ 경쟁 ○ 경제적 맥락 ○ 규칙, 규범 및 관행 ○ 사회적 맥락
주요 이해관계자 ○ 공급자 ○ 생산자 ○ 소비자
○ 경쟁자 ○ 규제자
○ 주요 공급자 ○ 자원과 생산품의 소비자 ○ 규제기관 ○ 전문가 협회 ○ 타 조직들
환경의 특성 ○ 불확실성 ○ 동태성 ○ 이질성
○ 복잡성
○ 규제적 ○ 규범적 ○ 인지적
주요 관심사 ○ 능률성 ○ 정당성

 

3. 기술-제도 환경 간 관계에 관한 기존 논의

 

① 기술 환경과 제도 환경의 분리

 

② 기술 환경과 제도 환경간의 관계 재정립에 대한 기존 시도

 

4. 기술-제도 환경 간 관계 모형 구축

 

① 기술-제도 환경 간 관계 재정립 필요성의 근거

 

② 기술-제도 환경 간 관계에 관한 관점 : 공진화론

 

③ 기술-제도 환경 간 관계 구축 : 혁신과 제도화

 

제도화한 조직 장 수준에서 "전체 계열(영역)에 걸쳐서 사회적 실재의 재생산 또는 복제"를 말한다. DiMaggio와 Powell은 조직 장의 제도화 과정을 1) 장에서의 조직들 간 상호작용의 증가, 2) 뚜렷하게 정의된 조직간 지배구조와 연합유형의 출현, 3) 장에 속해 있는 조직들이 우위를 차지하기 위해 경쟁하여야 하는 정보량의 증가, 4) 동종업계에서 종사하는 조직들의 집합체에 소속되어 잇는 참여자들 간 공동 인식의 발전 등과 같은 네 단계로 구분하여 묘사하였다. 이들은 이러한 제도화를 통해 조직 장에서 조직의 다양성 정도가 상당히 낮아지는 어떤 시점에 이르게 되는데, 이 시점에서 하나의 제도 논리(설계)가 일종의 객관적 지식으로 당연시되는 지배적 논리의 지위를 획득하게 된다고 주장하였다. 

 

5. 결론 : 논의와 시사점

 

새로운 기술 개발은 그러한 기술에 적합한 업계구조와 이를 지탱하는 기존 제도의 정비 또는 새로운 제도 개발의 필요로 이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