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02 32

[디지털 농업 시대], 유병규, 삼성경제연구소, 2007, (220202)

프롤로그 '디지털 혁명의 영향'이라는 견지에서 보면 농업 생산은 땅에 대한 제어적 장치가 중심이다. 1 땅심에 스며든 디지털 바람 01 디지털 혁명이 가져온 농업의 변화 땅의 활용도를 높이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다. 첫째, 땅 자체를 개량하여 생산성을 끌어올리는 방법이다. 둘째, 인간의 노동력과 같은 투입 요소를 적게 할 수 있는 농기계 등 대체 수단을 활용함으로써 생산성을 높이는 방법이다. 농업의 역사는 전자에서 후자로 진행되고 있다. 관행농업과 디지털 농업은 어떻게 다른가? 첫째, 농업 생산 활동을 중심으로 살펴보자. 역사적으로 보면 농업의 주요 투입 요소가 인간→가축→기계로 변화 발전 되어왔다. 관행농업 단계에서 농기계 사용은 단순히 인간의 노력을 절감하고, 고된 노력을 절감하고, 고된 노동에서 탈..

인문사회 2022.02.02

[공간 침입자], 너멀 퓨어, 김미덕, 현실문화, 2017, (220201)

1장 서론 : 소수자들이 제도에 진입할 때 … 7 여성과 인종화된 소수자는 어떤 자리에 어울리지 않는 존재로서, 이들 존재가 '공간 침입자'임을 알 수 있는 일련의 과정이 있다. 이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하려면 '인종'과 젠더 간 차이를 강조하는 것이 중요하다. 한쪽에 타당한 분석이라 해서 다른 쪽에도 들어맞는 것은 아니다. 직업 간 차이 역시 동질화되어서도 하나로 합쳐져서도 안 된다. 직업 간의 차이들에는 끝없이 변화하는 분석 틀의 여지가 존재한다. 제도 전역에 걸쳐 있는 '공간 침입자들'은 각기 다른 양태로 나타나는 그 과정들을 직면한다. 각각의 집합체는 보편적 신체규범이 어떤 힘으로서, 여성과 인종화된 소수자를 내부자이면서도 외부자인 자리, 수사적으로 말해 다양한 수준의 '공간 침입자'라는 불안한 자..

인문사회 2022.0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