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배움 205

[질문하는 독서의 힘], 북바이북, 2020, (201230).

머리말 1장. 질문하는 독서를 위한 마음가짐(김민영) 집중력을 높이는 독서 습관 고정관념을 깨는 소소한 질문 만들기 질문은 깊게 읽기를 위한 징검다리다 질문은 사고의 폭을 넓히는 마중물이다 책 읽고 질문하며 자기 입장 찾기 2장. 홀로 책 읽는 이를 위한 질문 독서(권선영) 책에 표시하며 질문 찾기 질문하는 습관 기르기 성찰과 사유를 위한 질문 만들기 나와 타인을 깊이 이해하는 질문 만들기 사회를 보는 다양한 관점의 질문 만들기 생각을 정리하는 질문 글쓰기 3장. 독서 모임을 위한 논제 독서(윤석윤) 독서 토론 교육에서 직접 사용했던 교육 방식인 'RWS형 비경쟁 독서토론' 모델을 바탕으로 한다. R(Reading)은 독서법, W(Writing)는 논제 발제를 위한 글쓰기, S(Speech)는 독서 토론..

교육·배움 2020.12.30

[미래학교], EBS 미래학교 제작진, 그린하우스, 2019, (201227).

Prologue_ 학교의 변화는 온다, 천천히, 그러나 과감하게 PART1 미래학교를 열다 1 미래학교의 아이들 미래학교에서는 무엇을, 어떻게 배우게 될까? 12명 디지털 네이티브를 미래 교육의 눈으로 분석해보니 메타인지(metacognition)=한 단계 더 높은(meta)+아는 것, 인지(cognition). 부모는 모르는 내 아이의 미래 역량 미래, 내 아이가 학교에 가는 이유? 미래역량 3C=창의성(creativity)+협력(collaboration)+의사소통(communication). 2 학교 종이 울리다 미래학교 청사진을 그리다 미래학교의 교사가 된다는 것 4개국의 제작진과 국내 연구진들의 논의를 거쳐 교과목은 STEAM을 기본 얼개로 했다. 과학(science), 기술(technology)..

교육·배움 2020.12.27

[문성후 박사의 말하기 원칙], 문성후, 21세기북스, 2020, (201213).

prologue 말하기에 관한 빈틈없고 빠짐없는 안내서 2017년 미국 코넬대학교의 바네사 본스 교수 등의 연구에 따르면, 누군가를 설득할 때 이메일을 주고받는 것보다 한 번이라도 얼굴을 보고 말하는 것이 자그마치 34배 더 높은 효과가 나타났다. 1장 원칙 ① 준비와 자각 : 말을 시작하기 전에 알아두어야 할 기본 원칙 01 주제를 고정하고 전달 방법을 찾아라 영국 뱅거대학교 언어학과 명예교수이자 저명한 언어학자인 데이비드 크리스털은 에서 고대부터 설득력 있는 훌륭한 연설을 하려면 다음과 같은 5가지 규칙을 지켜야 한다고 했다. ○ 착상(Inventio 인벤티오) : 말하고 싶은 것을 골라라. ○ 배열(Dispositio 디스포시티오) : 어떤 순서로 말할 것인지 정하라. ○ 표현(Elocutio 엘로..

교육·배움 2020.12.13

[코로나19, 한국 교육의 잠을 깨우다], 지식공작소, 2020, (201209).

머리말 : 혁신 정책 20년보다 더 나간 코로나 석 달 Ⅰ 비대면 수업, 변화의 촉매일까 토론 : 사회 강대중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교수)김차명 (경기도 시흥시 배곧초등학교 교사, 참쌤스쿨 대표)이예슬 (경기도 하남풍산초등학교 교사)조기성 (서울시 계성초등학교 교사, 스마트교육학회 회장) 01 언택트 시대의 교실, 다시 수업을 생각하다 본래 수업은 교사와 학생이 만나는 일이다. 수업의 핵심이 '만남'이기 때문에 그 속에서 대화가 있고, 접촉이 있고, 공감과 끄덕임이 있고, 재미와 즐거움을 비롯한 여러 감정들이 있다. 열린 교실, 민주적 교실, 맞춤형 수업 환경 따라 학습 격차, 학생 지도에도 한계 언택트 시대 교실, 교사-학생 행복한 연결 02 미래교육, 계성초등학교 사례 1인 1디바이스의 스마트교실 교..

교육·배움 2020.12.09

[상상하는 수업 구글클래스룸], 윤지영, 기역, 2020, (201205).

펴내는 글 ? 004 프롤로그_교실수업의 소확행, 구글클래스룸 ? 011 Ⅰ. 구글클래스룸 수업 준비 ? 021 구글클래스룸이란? ? 022 구글클래스룸 시작하기 ? 024 1. 수업 개설하기 ? 024 2. 수업 코드 확인하기 ? 025 3. 학생 초대 ? 026 4. 학생 확인 → 027 구글클래스룸 메인 화면 이해하기 ? 028 1. 간단한 공지 또는 자료 공유는 여기!, 스트림(Stream) ? 028 2. 과제 제시는 여기!, 수업(Classwork) ? 030 3. 개설된 반에 속해 있는 학생들 확인은 여기!, 인물(PEOPLE) ? 040 4. 과제별 일괄 점수 확인도 점수 부여도 가능한, 성적(Grade) ? 041 5. 제출된 모든 과제를 일괄적으로 확인할 때는 여기!, 모두보기(View..

교육·배움 2020.12.05

[신나는 책 쓰기 수업], 김점선/임지현, 에듀니티, 2019, (201202).

프롤로그 : 행복한 삶을 나누는 책 쓰기 1장 책 쓰기를 시작하며 작가가 되려면 첫째, 타인의 마음을 읽는 공감 능력이 필요해요. 둘째, 같은 사건도 다른 시선으로 보는 비판적 사고 능력이 필요해요. 셋째, 발상의 전환을 일이킬 수 있는 상상력과 창의력이 필요해요. 넷째, 자신이 하고 싶은 말을 제대로 전할 수 있는 표현력이 필요해요. 다섯째, '나', '너', 사회문제에 대한 깊은 통찰력이 필요해요. 여섯째, 무거운 주제를 이야기화하는 재치와 위트가 필요해요. 책 쓰기에 대한 오해를 몇 가지 짚어볼게요. 오해 1. 글에 삽화만 얹으면 책이 된다. 오해 2. 책이라는 형태의 결과물에 치중한다. 오해 3. 책을 내기만 하면 작가가된 것이다. 다시 스스로에게 질문을 던져볼까요. 작가가 된다는 것은 무엇일까?..

교육·배움 2020.12.02

[교실이 없는 시대가 온다], 존 카우치/제이슨 타운, 김영선, 어크로스, 2020, (201120).

스티브 워즈니악 서문_누구도 경험한 적 없는 새로운 교육 프롤로그_학습의 패러다임이 바뀐 순간 1부-준비 없이 도착한 세상 1장 전혀 다른 세대, 디지털 네이티브 2장 표준화된 교육 시스템의 가장 큰 결함 테일러의 책이 출간되고 1년 후인 1912년, 교육계는 교육의 패러다임을 바꾸는 저술과 맞닥뜨렸다. 학교 기반 교육의 목적을 재검토하는 이 글은 커다란 반향을 불러일으켰다. 이 글에 따르면, 교육의 목적은 더 이상 아이들에게 삶을 준비시키는 게 아니라 그 시대에 필요한 노동력을 준비시키는 것이었다. 2부-모두가 놓치고 있었던 공부의 본질 3장 왜 모두가 똑같이 배워야 한다고 생각할까 4장 ‘무엇을 배우는가’보다 더 중요한 것 윌리엄 버틀러 예이츠, "교육이란 들통을 채우는 일이 아니라 불을 지피는 일이..

교육·배움 2020.11.20

[노동인권 수업을 시작합니다], 학교도서관저널, 2020, (201115).

머리말 전태일의 삶과 정신 - 인간의 존엄을 향한 영원한 불꽃 책읽기와 사회참여수업으로 배우는 노동인권 - 책을 읽고 공유하는 노동인권수업 - 사회참여수업으로 이해하는 전태일 - 직접 보고 느끼는 전태일기념관 예비 노동자의 권리와 노동인권 감수성 - 카드게임으로 시작하는 노동인권수업 - 시를 통해 기르는 노동인권 감수성 우리 사회는 노동자를 어떻게 바라볼까? - 우리 사회의 노동 인식 - 미디어 속 노동과 프레임 - 과거에서 현재로 이어지는 전태일 특성화고 노동인권수업 도전기 - 학교 속으로 들어온 노동인권교육 - 아르바이트생도 노동자일까? - 한 달 동안 필요한 최저생계비 - 노동조합은 나의 힘! - 사회는 노동자를 어떻게 대하고 있나? - 사람이 먼저다, 노동자도 사람이다 삶으로 스며드는 노동인권수업..

교육·배움 2020.11.15

[교사 교육과정을 디자인하다], 교육과정디자인연구소, 테크빌교육, 2020, (201028).

프롤로그 교육과정 개발, ‘집밥’과 같지 않을까? 1장. 교사 교육과정 (Teachers’ curriculum) 해외에서 교사 교육과정이 담론화되고 교육적 가치가 인정되기 시작한 것은 1970년대 후반부터다. 외부 전문가들이 교육과정을 잘 만들어 주면 학교 현장에서도 교육과정이 잘 운영되리라는 기존의 전제가 '환상'이었다는 학계의 성찰에 따라, 교실 속 교사들이 실행하는 실제적인 교육과정인 '교실 상황에서의 교육과정'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한 것이다. 우리나라에서 교사 교육과정은 교육과정 분권화·자율화, 학교혁신 운동과 맥을 같이한다. 국가가 목표, 내용, 방법, 평가 등 학교에서 무엇을 어떻게 가르치고 평가할 것인지 모두 결정하여 안내하던 중앙집권적 방식에서 지역의 특성, 학생·학부모·교사의 필요와 요구..

교육·배움 2020.10.28

[창의성, 어떻게 키울 수 있을까], 박지숙, 아트브릿지, 2020, (201021).

Prologue 창의성을 발휘한다는 것은 '무엇'이 아니라 '어떻게'의 문제이다. 창의적 발상의 근원은 '무엇을 끄집어낼 것이가' 가 아니라 '어떻게 끄집어낼 것인가'에 달려 있기 때문이다. 1부: 창의성 알아보기 1. 창의성이란 무엇일까? 창조 : 존재하지 않던 산출물을 만드는 것. 창의 : 독창적인 생각이나 의견. 창신 : 새로운 것을 만드는 혁신. 오해 이해 - 창의성은 소수의 영재들에게서만 나타난다. - 창의성은 배울 수 없는 것이다. - 발산적인 사고를 의미한다. - 정신이 이상한 것을 의미한다. - 완전히 새로운 것이다. - 노력을 하지 않아도 창의적인 생각이 떠오른다. - 창의적인 사람은 대작을 남긴다. - 전문가만이 창의성을 발휘한다. - 창의성은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모든 사람에게 나타난..

교육·배움 2020.10.21